8월 수도권 전셋값, 0.02% 상승…작년 5월 이후 첫 반등경기, 하락세 딛고 0.01% 올라…인천은 20개월 만에 상승서울, 가격 오름세 지속 전망…인천·경기는 입주량 '관건'
  • ▲ 2023년 수도권 월간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 ⓒ부동산R114
    ▲ 2023년 수도권 월간 아파트 전세가격 변동률. ⓒ부동산R114
    서울·경기·인천 아파트 전셋값이 상승 전환하면서 수도권 전체 전셋값이 반등했다. 연초 5~6%대였던 시중은행 전세대출금리가 3~4%대로 내려오면서 월세에서 전세로 회귀하는 수요가 늘었고, 낮아진 가격에 갈아타기 수요가 맞물리면서 전셋값 회복을 이끈 것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5월 이후 아파트 매매가 반등지역이 늘어남에 따라 전셋값 동반 상승의 동력이 됐다. 대출 규제 완화 등을 통해 역전세 리스크가 줄면서 임차·임대 수요심리가 개선된 점도 가격상승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11일 부동산R114가 아파트 월간 전셋값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8월 수도권 전셋값은 0.02% 올라 지난해 5월 0.03% 이후 처음으로 반등했다. 7월 보합(0.00%)을 기록했던 서울은 전월대비 0.07% 올랐고, 경기 역시 마이너스 변동률을 벗어나 0.01%를 기록했다. 인천은 2021년 12월 0.19% 이후 20개월 만에 상승 전환됐다.

    서울은 업무지구와의 접근성이 높아 수요자들이 선호하는 △중구 △강남구 △광진구 △서대문구 △송파구 등에서 전월대비 전셋값이 뛰었다.

    해당 자치구 모두 구축아파트의 가격상승이 두드러진 가운데 △중구 신당동 △광진구 구의동·광장동 △서대문구 홍제동 등은 전용 85㎡ 이하 중소형아파트를 중심으로 올랐다. 강남구 개포동·일원동 및 송파구 가락동·잠실동 등은 리모델링 추진 및 정비사업 유망단지 위주로 가격이 반등했다.

    경기는 △의왕시 △용인시 △안산시 등이 7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고 인천은 △서구 청라와 △연수구 송도국제도시를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다.

    올 들어 7월까지 수도권 전세거래 누계건수는 모두 9만4413건으로, 전년동기 8만8148건보다 6265건(7.10%) 늘었다. 다만 7월 한 달간 전세거래량(3만1497건)은 전년동월 3만4394건 대비 8.4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급매물 소진 이후 선호단지를 중심으로 전세물건 공급량이 줄면서 거래움직임이 정체된 것으로 판단된다.

    백새롬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가을 이사철을 목전에 두고 수도권 전셋값이 올해 처음으로 올랐다. 서울은 하락세를 벗어나지 못한 지역이 전월(14곳) 대비 6곳으로 크게 줄었고, 낙폭도 둔화하고 있어 가격 회복의 체감이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다가오는 가을 이사수요까지 더해져 오름세가 지속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경기·인천 또한 서울 전셋값에 동조해 움직일 가능성이 크지만, 여전히 가격 혼조세가 나타나고 있는데다 4분기 연내 가장 많은 입주(경기 약 3.3만가구, 인천 1.5만가구)가 예정돼 지역별 가격 추이를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