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요금 추가 인상, 산업용 ‘핀셋 적용’제품 원가 10% 수준, 업계 부담 가중가격 반영 안돼, 원료비 연동제 요구
  • ▲ 동국제강 인천공장의 에너지 효율을 높인 에코아크 전기로의 모습 ⓒ동국제강
    ▲ 동국제강 인천공장의 에너지 효율을 높인 에코아크 전기로의 모습 ⓒ동국제강
    전기요금이 산업용 전기요금에 한정해 추가로 인상된 가운데 전기로를 주로 가동하는 철강사들의 원가 부담이 커졌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전력공사는 산업용 전기요금을 kWh당 평균 10.6원 인상하기로 했다. 주택용과 소상공인용 전기요금은 물가 상승을 고려해 동결됐다.

    앞서 올해 전기요금은 두 차례 인상된 바 있다. 1월 kWh당 13.1원 오른 데 이어, 5월에는 kWh당 8원 높아졌다. 3분기에는 동결됐지만, 4분기 추가 상승분이 반영된 모습이다. 올해 인상 폭은 총 31.7원으로, 지난해(kWh당 19.3원)와 비교해서 12.4원 높다.

    전기요금이 kWh당 1원 오르면 철강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들은 평균 비용부담이 100억원 가량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제철은 올해 초 2022년 4분기 컨퍼런스콜을 통해 “매년 사용하는 전기는 1만GW 정도”라며 “전기료가 kWh당 1원 오르면 100억원 수준 가격인상 요인이 발생한다”고 전했다.

    업계에서는 전력비가 대략 철강 제품원가의 10% 수준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 전기로 비중이 높은 업체들에 전기요금 인상은 결코 무시하지 못할 수준이다.

    공시에 따르면 현대제철이 올해 상반기 납부한 전력·연료비는 1조2613억원이다. 상반기 전력요금 인상으로 인해 지난해 상반기(1조2134억원) 대비 전력·연료비용이 500억원 가까이 오른 상태다.

    전기로 비중이 높은 동국제강은 타격이 더 크다. 동국제강의 연간 전기요금은 2400억원 정도로, 지난해 상반기 기준 1277억원을 전력비로 납부한 바 있다. 올해 6월 한 달간 사용한 전력비는 300억원이며, 6개월 누적 기준으로 환산하면 지난해 대비 500억원 가량 인상이 점쳐진다.

    업계에서 이뤄지는 원가절감 노력이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해 상쇄되는 형국이다. 동국제강의 경우 전력 요금이 저렴한 야간에 조업을 하거나, 쇳물을 신속하게 뽑아내 가동시간을 줄이는 등 원가절감을 통한 수익성 개선에 집중해왔기 때문이다.

    전기요금 인상은 최근 탄소중립 일환으로 전기로 신설과 활용이 늘어나는 국면에도 찬물을 붓고 있다. 포스코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광양제철소에 전기로를 신설하고 있다. 현대제철도 고로가 아닌 전기로를 활용한 차량용 초고장력 판재를 개발하며 전기로 비중을 늘리는 중이다.

    인상된 전기요금이 제품 가격에 반영되지 않는다는 점이 문제다. 최근 건설을 비롯해 전방산업 수요가 부진한 상황에서 전기요금 인상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는 힘든 실정이다. 조선업계와 후판 가격 협상도 지지부진하면서 원가 상승분이 반영되기는 어려울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원료비 연동제’를 현실적인 대안으로 요구하고 있다. 원료비 연동제는 원자재 가격 변동을 일정 주기로 가격에 반영하는 제도로, 원가가 오른 만큼 제품 가격에 반영이 돼야 한다는 취지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에서 한국의 값싼 산업용 전기요금이 보조금 역할을 한다며 후판에 상계관세를 부과하기도 할 만큼 저렴한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전기요금을 지속적으로 인상하는 데다가 산업용에만 핀셋 인상을 적용하면서 철강업계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