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노조 조합원 600명 참여무책임, 사익추구 경계 요구
  • ▲ ⓒ카카오 노조 크루유니언
    ▲ ⓒ카카오 노조 크루유니언
    카카오 노조가 경영쇄신 캠페인 일환으로 진행한 ‘우리가 원하는 경영진'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고 28일 밝혔다.

    카카오 노조 조합원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는 2월 6일부터 21일까지 15일간 이뤄졌다. 대상은 임직원 약 600여명으로, 객관식 2문항과 주관식 2문항 총 4개 문항으로 구성됐다.

    경영진에게 꼭 필요한 것을 선택하는 질문에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항목은 ’투명한 소통 구조를 기반으로 한 문제 해결(56.1%)‘이었다. 이어 ’개인의 이익보다 회사와 조직의 건강한 성장을 우선하는 관점(51.0%)‘, ’회사의 발전과 성장을 담보하는 비전 제시(49.5%)‘ 순으로 나타났다. 공정한 평가와 보상(31.3%), 직원에 대한 존중과 배려(34.2%)에 대한 요구도 높았다.

    법인별로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본사는 ’회사의 발전과 성장을 담보하는 비전 제시(57.7%)‘가 가장 높은 응답을 보였다. 모빌리티, 페이, 엔터테인먼트, 엔터프라이즈 등 계열사에서는 ’투명한 소통 구조를 기반으로 한 문제 해결‘에 대한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른 의견으로는 ’카카오만의 문화 만들기‘, ’도덕적 기준 강화‘ 등을 꼽아 경영쇄신에 대한 직원들의 기대가 높은 걸로 나타났다.

    경영진에게 절대 있어서는 안되는 것을 선택하는 질문에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은 항목은 ’회사의 성장보다 경영진 보상만 극대화하는 사익추구(55.2%)‘로 나타났다. 이 외에 ’독단적이고 무책임한 결정(41.4%)‘, ’불투명하고 원칙없는 회전문 인사(40.5%)‘ 순으로 집계됐다.

    서승욱 카카오 노조 지회장은 “현재 위기는 경영진의 무책임, 사익 추구 등이 원인으로 지적되며 반복되지 않기를 바라는 구성원들의 바람이 반영됐다”고 말했다.

    카카오 노조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사내 구성원들에게 공유하고, 이후 경영쇄신의 기준점으로 삼을 방침이다. 경영진에 대한 인사 검증 프로세스 도입, 과도한 스톡옵션 제한, 공정한 징계절차 마련 등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는 활동을 지속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