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만여명 가입한 전삼노, 오늘부터 파업 찬반투표결과 따라 55년만에 파업 현실화할 수도16년 만에 영업익 10조 밑으로… 무리한 요구 비등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삼성전자 노조가 합법적으로 파업을 할 수 있는 쟁의권을 확보하면서 첫 파업에 나설지 주목된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전삼노)은 이날 조합원 대상 쟁의행위 찬반 투표에 나설 예정이다. 

    앞서 지난 15일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는 조정회의를 열고 삼성전자 노사의 임금협상 중재를 시도했다. 그러나 양측 간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서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렸다.

    현재 삼성전자 사측은 임금 기본 인상률 2.8%(성과인상률 별도)를 제시했으나, 노조는 8.1%를 요구하고 있다. 사용자·근로자 위원이 참석하는 노사협의회가 요구하는 5.74%에 비해 턱없이 높다.

    삼성전자는 노조 파업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피하기 위해 막판까지 협상을 진행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최종 합의가 이뤄질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만약 노조가 파업에 돌입하게 되면 지난 1969년 삼성전자 설립 이후 첫 사례로 남게 된다. 

    삼성전자 노조는 지난 2020년 이재용 회장이 82년간 유지해 온 '무노조 경영'을 종식한다고 선언하면서 잇달아 설립됐다. 현재 삼성전자와 관련된 노조는 ▲삼성전자사무직노조 ▲삼성전자구미노조 ▲삼성전자노조 동행 ▲전삼노 ▲삼성그룹 초기업 노조(초기업 노조) 등 5개에 달한다.

    이 가운데 전삼노는 조합원 수가 2만명을 넘어서며 가장 큰 규모를 보이고 있다. 이는 삼성전자 전체 직원수의 16% 수준이다. 지난해 1만명 수준이었지만 1년 만에 두 배 늘어났다. 여기에 전삼노는 사무직과 구미사업장 직원 등으로 이뤄진 1~3노조와 통합을 추진 중에 있어 규모는 더욱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 노조는 지난 2022년에도 임급협상 갈등을 빚던 끝에 쟁의권을 확보한 바 있으나 실제 파업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후 사측과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그해 8월 극적으로 협상이 타결됐다.

    그러나 올해는 노조원 수가 크게 늘어난 만큼 강경 대응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삼성전자를 둘러싼 위기에도 노조의 무리한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사업은 지난해 전방 IT 수요 침체에 따른 반도체 업황 악화에 연간 14조8800억원에 이르는 적자를 냈다. 이에 전체 영업이익도 전년 대비 84% 감소한 6조5700억원을 기록하는데 그쳤다. 

    삼성전자의 연간 영업이익이 10조원 아래로 떨어진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당시 6조319억원을 기록한 이후 약 16년 만이다. 

    계열사별로 임금 체계와 경영성과 평가 기준도 다른 점도 노조의 요구가 무리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공통 인상률을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오히려 이 같은 주장은 기존의 임금체계 및 인사제도를 통째로 바꾸자는 것으로 근거 및 어떤 회사를 상대하려는 지도 불분명한 주장이라는 평가다.

    한 노동분야 전문가는 "대기업 노조들의 과도한 행태가 우리 사회의 양극화에 가속페달이 되고 있다"며 "직원이나 국민들에게 호응을 얻으려면 과거의 대립적, 투쟁적 구도에서 벗어나 합리적이고 균형감 있게 변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