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중앙-지방정부 몰빵 지원과 대비후속대책 수준… 사실상 제자리CATL 등과의 격차 더 벌어질 듯
-
저가 배터리를 앞세웠던 중국이 기술 혁신에 속도를 낸다.미국와 유럽의 공세에 대응해 생산속도를 조절하고 기술 혁신을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이차전지 기술력 초격차를 유지해야 하는 한국 배터리 업계에는 위기로 다가올 것으로 보인다.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국내 배터리 3사의 지난해 연구개발(R&D) 투자비용은 2조4743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2조1869억원과 비교하면 늘어난 수치지만, 매출이 늘어난 것을 고려하면 제자리 규모다.매출 대비 R&D 투자비용을 보면 삼성SDI는 2022년 5.4%에서 지난해 5.0%로 줄었고, 같은기간 LG에너지솔루션은 3.4%에서 3.1%로 축소됐다. SK온은 3.1%에서 2.3%로 감소했다.반면 경쟁사인 중국 CATL은 투자를 대폭 늘리고 있다. 지난해 1~3분기까지만 148억7573만위안(2조8000억원)을 쏟아부었다. 1년 전과 비교하면 40.6% 늘린 투자 규모다. 막대한 투자가 이어지면서 CATL의 올해 매출 전망치는 6% 늘었고, 영업이익은 25% 급증할 것으로 외신들은 내다봤다.중국은 국가 차원 투자도 크게 늘릴 계획이다.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전날 홈페이지를 통해 리튬배터리 업계 표준 조건 공시 관리 방법 초안을 공개하고 의견 수렴에 나섰다. 이차전지 단순 생산 능력을 확대하는 제조 프로젝트를 줄이고 기술 혁신을 강화하고 제품 품질을 개선을 유도한다는 내용이다.미국과 유럽의 과잉생산 주장에 대응해 리튬 전지의 표준 규격을 제시하는 등 배터리 산업의 급격한 확장을 늦추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통신은 분석했다.실제로 서구 국가의 각종 규제에도 중국 배터리 점유율은 높아지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글로벌 전기차에 탑재된 배터리 총 사용량에서 CATL은 31.9%(60.1GWh) 성장률을 보이며 1위 자리를 지켰다. 중국 BYD도 22.7GWh로 2위를 기록했다. 반면 국내 배터리 3사 점유율은 전년대비 줄어든 23.5%에 그쳤다.정부는 국내 배터리 업계 공급망 자립화에 9조7000억원의 정책금융을 지원하는 등 투자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지만, 턱없이 부족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미국, EU, 일본, 중국 등 주요 이차전지 개발국에서는 대규모 보조금을 통한 전폭적인 지원을 하고 있지만, 한국은 세액공제, 금융지원 등 후속대책에 그치는 실정이다.이현욱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 배터리 기업들의 중국 외 지역에서 점유율 상승을 높여가고 있는 상황이며 특히 유럽 점유율 상승폭이 가파르다"며 "광물 가격 하락에 따른 배터리 가격 하락은 2분기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