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감지수 55.9 → 53.7국제경쟁·생산기술 지수 하락경제·사회적 역할 확대 공감대
  • ▲ 대한상공회의소ⓒ뉴데일리DB
    ▲ 대한상공회의소ⓒ뉴데일리DB
    기업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호감도가 다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신기업가정신(ERT)협의회 출범 2주년을 맞아 전국 20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기업호감지수를 산출한 결과 53.7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해 기업호감지수는 55.9였는데 2.2p 하락한 것이다.

    기업호감지수는 50을 기준으로 100에 가까우면 호감도가 높은 것이고, 0에 가까우면 낮은 것으로 해석된다.
  • ▲ 지표별 기업 호감지수ⓒ대한상공회의소
    ▲ 지표별 기업 호감지수ⓒ대한상공회의소
    세부적으로는 지난해 조사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던 '국제경쟁력'이 73.9에서 58.5로 뚝 떨어졌다. '생산성 및 기술향상' 지수는 73.3에서 63.9로 하락했다.

    두 지표 기준선인 50을 크게 상회했지만, 대내외적인 경제 불안, 첨단 산업의 글로벌 경쟁 심화에 따른 기업 경쟁력 저하를 국민들이 우려한 것으로 상의는 해석했다.

    지난해 가장 낮은 평가를 받은 '윤리경영 실현'은 36.5에서 40.9로 다소 상승했지만, 기준선은 여전히 하회했다.

    기업에 호감이 가는 이유로는 '국가경제에 기여'가 43.8%로 가장 많았고, '일자리 창출'(26.5%), '기업문화 개선에 대한 노력'(10.3%), '사회공헌 등 사회적 책임 수행'(9.7%)이 뒤를 이었다.

    기업에 호감이 가지 않은 이유로는 '준법·윤리경영 미흡'이 42.7%로 가장 많았고, '기업문화 개선 노력 부족'(23.3%), '사회공헌 미흡'(10.7%), '고용 부진'(9.7%)  등도 꼽혔다.

    구글, 아마존, 테슬라 등 글로벌 선도 기업들에 대해 느끼는 전반적 호감도는 57.5로 국내 기업에 대한 전반적 호감도(54.1)를 상회했다.

    우리 기업들이 글로벌 선도기업에 비해 부족한 점으로는 '준법 및 윤리경영 미흡'(38.9%)이 먼저 꼽혔고, '후진적 기업 문화'(35.9%), '도전정신, 기술 투자 등 기업가정신 미흡'(35.7%), '국가 경제에 기여 부족'(32.7%), '지역사회 공헌활동 미흡'(29.4%)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에 바라는 우선 과제에서 경제적 분야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40.6%로 가장 많았다. 또 '적극적 R&D 통한 기술개발'(17.9%), '글로벌 기업으로의 성장'(14.0%), '스타트업 등에 대한 투자'(9.8%) 등의 순이었다.

    사회적 분야에서 기업에 바라는 과제로는 '근로자 복지 향상'(33.5%), '중소기업 등과의 상생'(17.4%), '준법경영 및 일탈 방지'(12.3%), '기업 문화 개선 노력'(10.5%), '친환경 경영실천'(10.2%) 등이 꼽혔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국제경쟁력, 생산성 등 지표 하락으로 기업호감지수가 소폭 하락했다"며 "기업 인식을 결정짓는데 있어 경제적 역할과 성과가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 원장은 이어 "그럼에도 많은 국민들이 기업의 사회적 역할 확대에 공감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기업 본연의 경제적 역할과 더불어 사회적 문제 해결에 기여하자는 뜻을 담고 있는 신기업가정신을 확산해 국민들의 긍정 평가가 늘어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신기업가정신(ERT)은 기업이 쌓아온 다양한 기술과 문화를 바탕으로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고 더 나아가 사회발전을 이끈다는 것이 핵심 비전이다. 대한상의는 2022년 신기업가정신 실천의지를 담은 '기업선언문'을 선포하고 신기업가정신협의회를 발족했으며, 현재 약 1500개의 기업이 참여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