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RNA 기반 노화성 안과·귀 질환 치료제 개발 계획턴바이오, 노화된 세포에 유전자 조절 인자 mRNA로 주입 플랫폼 'ERATM' 보유
  • ▲ ⓒ한올바이오파마
    ▲ ⓒ한올바이오파마
    한올바이오파마가 신약개발을 위한 신규 모달리티(치료기법)로 mRNA(메신저 리보핵산)를 선정했다.

    한올바이오파마는 '세포 리프로그래밍' 신약 개발사 '턴바이오'와 독점적 기술도입 계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전체 계약 규모는 계약금 100만달러(13억6800만원)를 포함해 총 2억3900만달러(3270억원)에 이르며 상업화 후 판매 금액에 따른 경상기술료(로열티)는 별도 지급한다. 

    한올바이오파마는 턴바이오의 노하우와 특허 기술을 활용해 노화성 안과 및 귀 질환 신약을 연구개발할 계획이다.

    턴바이오는 세포의 생체 시계를 되돌리는 세포 리프로그래밍 기술을 연구하는 미국 바이오텍으로 노화된 세포에 유전자를 조절하는 단백질 인자를 혼합해 mRNA 형태로 주입해 세포의 나이를 되돌리는 기전을 보이는 'ERATM'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다.

    ERATM는 세포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도 세포 나이를 원하는 만큼만 되돌릴 수 있어 시력과 청력 등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턴바이오는 현재 피부과, 면역과, 안과 등 다양한 질환 영역에서 노화로 인해 발생하는 질환을 대상으로 전임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양사는 한올바이오파마가 집중하고 있는 안과 질환과 귀 질환에 대한 전문성에, 턴 바이오의 ERATM 기술과 지질나노입자(LNP) 약물전달 플랫폼에 대한 지식을 더해 노화성 질환 치료제 개발에 시너지를 낼 계획이다.

    한올바이오파마는 2022년 턴바이오의 시리즈A 투자사로 참여한 이후 지속적으로 협업 가능성을 모색해 왔다.

    정승원 한올바이오파마 대표는 "이번 기술도입을 계기로 mRNA 치료제 R&D 역량을 강화해 파이프라인 확장 가능성을 지속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안야 크래머 턴바이오 대표는 "세계적으로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향후 다양한 시장 기회가 열릴 것으로 기대한다"며 "한올바이오파마와 협약은 턴바이오의 혁신 ERATM 기술의 가능성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