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ESG 공시 트렌드 반영지난해 도입한 이중 중대성 평가 확대 적용존림 대표 "지속가능한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
  • ▲ 삼성바이오로직스 2024 ESG 보고서.ⓒ삼성바이오로직스
    ▲ 삼성바이오로직스 2024 ESG 보고서.ⓒ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23년 ESG 경영성과와 지속가능경영 현황을 담은 2024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올해로 네 번째 발간된 이번 보고서는 GRI 표준, ESRS, IFRS 요구사항 등 글로벌 ESG 공시 트렌드를 반영하기 위해 노력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올해 발간한 보고서는 지난해 도입한 이중 중대성 평가를 확대 적용했으며 글로벌 신규 ESG 공시지표, 고객사 요구사항, 글로벌 ESG 평가지표 및 규제당국 현황 등의 내용을 추가했다고 설명했다.

    이중 중대성 평가는 기업이 사회·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지속가능경영이 기업에 미치는 재무적 영향을 양방향으로 고려한 평가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ESG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히는 탄소중립 등 환경(E)과 관련한 성과 및 목표도 제시했다.

    지속가능한 저탄소 친환경 사업장을 구축해 지난해 RE100 달성률 24.8%를 기록했다. 2030년까지 삼성바이오로직스 사업장 및 전체 공급망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각각 32%, 36% 줄이고 용수 재활용 및 재사용률 20%를 달성하는 게 목표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수자원, 폐기물, 오염물질, 생물다양성 등 자연자본(TNFD)에 기반한 자연 관련 영역별 중점 추진 과제와 전략도 처음으로 수립해 공개했다.

    자연자본이란 살아있는 자연, 물, 토양, 광물 등을 통칭한다. 생물다양성이 파괴되면 자연은 생태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고 자연의 붕괴로 이어져 중요한 지속가능성 이슈로 주목받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사회(S)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도 전개 중이다.

    구성원과 협력사 직원들이 안전하고 건강한 환경에서 근무할 수 있도록 2030년까지 중장기적인 안전경영 및 보건경영 목표와 실행과제를 포함한 청사진을 수립했다.

    지속가능한 공급망 관리를 위해 협력사 관리 및 운영 체계도 마련했다.

    ESG 경영에 대한 협력사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ESG 평가에 참여한 협력사 수를 2022년 46개사에서 2023년 171개사로 약 3.7배 확대했다.

    평가 결과를 협력사들과 공유해 협력사들이 잠재 리스크를 확인하고 개선과제 도출 및 이행할 수 있도록 돕는 ESG 개선 캠페인도 진행 중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책임 있는 비즈니스 활동(G)을 위해 이사회 독립성과 투명성을 제고하며 ESG 경영을 강화하고 있다. 

    기존 재무, 사업, 운영 리스크 영역에 지속가능경영 리스크 영역을 추가해 전사적인 대내외 리스크 관리 역량을 고도화했다. 전체 이사회 구성원 7명 중 과반 이상인 4명의 사외이사를 구성하고 선임사외이사제를 도입해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성을 높였다.

    존 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는 "꾸준하고 투명한 ESG 경영을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바이오산업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인류의 더 나은 삶을 실현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