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BOK이슈노트' 발간"사회적 능력, 자동화 기술에 의한 대체 가능성 상대적으로 낮아""사회적 능력 계발이 교육·직업훈련 측면에서 더 중요"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국내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I(인공지능) 기술이 다양한 업무를 대체하고 있는 만큼 인간이 비교우위를 가지는 사회적 능력을 계발하는 것이 교육 및 직업훈련 측면에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국은행은 10일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 증가'를 주제로 한 'BOK 이슈노트'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국내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업무와 능력을 정량적으로 측정한 다음 노동투입과 임금 측면에서 사회적 능력(social skills)의 중요성이 높아졌는지를 분석했다.

    우선 노동투입 측면을 살펴보기 위해 직업별로 수학적(인지적), 사회적 업무 강도를 측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직업을 4가지의 배타적인 그룹으로 분류하고 노동투입량 변화를 확인했다.

    그 결과, 지난 14년간(2008~2022년) '사회적 기술 집중 일자리'의 비중은 49%에서 56%로 7.0%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학적(인지적) 기술 집중 일자리' 비중은 50%에서 5%포인트 증가한 55%로 더 작은 증가폭을 기록했다. 사회적·수학적 업무 강도가 모두 낮은 일자리의 비중은 8%포인트나 감소했다.

    노동시장 전반에서 쓰이는 기술의 수준이 높아지는 과정에서 사회적 기술의 중요성이 더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 ▲ ⓒ한국은행
    ▲ ⓒ한국은행
    보고서는 또 청년패널조사를 이용해 임금 측면에서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을 살펴봤다. 이를 위해 개인이 보유한 인지적 능력(수학능력시험 성적 자료)과 사회적 능력(학창 시절에 대한 만족도, 친구 집단의 성향, 개인 성향과 관련된 응답)을 정량적으로 측정했다.

    임금 회귀식을 추정한 결과, 사회적 능력에 대한 임금 보상은 최근 들어 늘어난 반면 인지적 능력에 대한 임금 보상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사회적 능력이 1단위(1표준편차) 높을 때 임금이 2007~2015년 중에는 4.4% 높고 2016~2020년 중에는 1.5%포인트 더 늘어난 5.9% 높은 것으로 추정됐다. 반면 인지적 능력이 1단위(1표준편차) 높을 때는 임금이 2007~2015년 중 10.9% 높았으나 2016~2020년 중에는 1.6%포인트 하락해 9.3%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보고서를 작성한 오삼일 한은 조사국 고용분석팀장은 "고용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임금 보상 측면에서도 노동시장에서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이 높아졌음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오 팀장은 사회적 능력의 중요성이 높아진 이유에 대해 "사회적 능력은 자동화 기술에 의한 대체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기술에 의해 보완돼 노동시장에서 중요도가 증가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AI가 기존 기술에선 한계가 있는 인지적 업무까지 대체할 수 있는 상황에서 사회적 능력은 상대적으로 자동화 기술로 대체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이어 "자동화 기술에 의해 다양한 업무가 대체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간이 비교우위를 가지는 사회적 능력을 계발하는 것이 교육 및 직업훈련 측면에서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교육현장에서 어린 시절부터 인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과 소통하고 협업할 수 있는 사회적 능력을 계발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다만 "여전히 노동시장에서 인지적 능력의 중요성이 가장 크며, 향후에도 기술발전에 필수적인 STEM 전공자(인지적 능력 보유자)에 대한 수요는 견고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