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서울의대 '무기한 휴진' 돌입 … 의료전달체계 확립 주장18일 의협 주도 '전면 휴진' 예고 … 내부 반발도 거세 의협 대정부 요구안 발표 미뤄질 듯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다음 주부터 의대증원 갈등이 무기한, 전면 휴진으로 번져 환자 피해가 극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의료계 곳곳에서 파업 대신 환자를 지키겠다는 의지가 드러나고 있다. 특히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의협) 집행부의 행보를 지적하는 내부 비판의 목소리도 커진다. 

    14일 의료계에 따르면 다음 주부터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휴진과 의협 주도의 전면 휴진이 연이어 발생한다. 의료공백을 발생시켜 의료계가 주장하는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를 이끌어 내겠다는 것이다. 

    이에 각계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환자단체들은 "생명을 볼모로 잡은 의사들의 파업을 멈추라"며 "정상적 의료체계 가동을 위해 노력하라"고 비판했다. 

    시민단체, 노조 등도 "명분 없는 파업을 멈추고 제자리로 돌아오라"며 "의사가 떠난 자리를 채워야 하는 타 직역에 대한 일말의 배려도 없느냐"며 규탄했다. 

    내부 갈등도 격화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개원가 원장 A씨는 "이름을 드러내면 또 표적이 돼 공격을 받을까봐 감추는 것"이라고 전제하며 "임현택 집행부는 자율적 판단에 의한 휴진이 아닌 참여하지 않으면 죄책감을 불러일으키게 만들고 있다"고 했다. 

    그는 "필수의료를 유지하고 환자를 지켜야 한다는 신념을 깨뜨릴 수가 없다"며 "의대증원은 반대하고 있지만 본연의 기준에 입각한 삶을 살아가는 것을 훼손하는 것은 따를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국내 뇌전증 전문 교수들로 구성된 거점 뇌전증지원병원 협의체 역시 오는 18일 단체 휴진에 불참한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한시가 급한 환자를 그대로 두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며 동시다발적 휴진 자체는 불가능한 상황임을 강조했다. 

    대한분만병의원협회, 대한아동병원협회 등도 회원 투표를 결정한 것은 아니지만 현장을 지켜 필수의료를 지키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오는 18일로 예정된 의협 전면 휴진에 역대급 참석이 예상되나, 공개적으로 이에 반대하는 의료계 단체와 개인도 늘어날 전망이다. 

    특히 박단 전공의 대표는 전날 본인의 SNS에 "임현택 회장은 도대체 뭐 하는 사람이죠"라며 비판적 어조의 문장을 남겨 화제를 모았다. 

    그간 의협이 내세운 휴진과 투쟁의 명분은 '전공의를 위한 선배의 자세'였는데 이와 상반된 메시지가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의협이 이날 발표할 예정이었던 대정부 요구안 발표도 미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 무기한 휴진 선언한 서울대병원 교수들, 일단 사과
     
    오는 17일부터 서울대병원 교수들의 무기한 휴진이 시작돼 각계의 뭇매를 맞자 비상대책위원회는 "절망을 안겨 환자들께 사과한다. 중증, 희귀질환자들은 돌보겠다"고 입장을 냈다.

    서울의대 비대위 소속 교수들은 "더 이상은 버틸 수 없어 마지막 몸부림으로 전체 휴진을 결의한 것"이라며 "정부를 향한 이런 부르짖음이 서울대병원만을 믿어오신 중증‧희귀질환 환자분들께 절망의 소리가 된다는 점을 헤아리지 못했다"고 사과했다. 

    한국중증질환연합회는 지난 12일 서울대병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중증환자의 보루인 서울의대 교수의 무책임한 휴진을 철회하라"고 비판했다. 당시 식도암, 췌장암, 루게릭병을 앓고 있는 환자가 직접 나서 정상적 의료체계 가동을 역설한 바 있다. 

    서울의대 교수들은 "전체 휴진을 시작으로 서울대병원 1, 2차 병원 역할에서 빠지고 중증‧희귀질환 환자 진료에 집중하는 진정한 최상급종합병원의 역할에 충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는 각종 규제로 의료계를 옥죄는 대신 의료 선진국들과 같이 의사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존중해달라"고 했다. 

    서울의대 교수들의 사과는 있었지만 본질적으로 '무기한 휴진'에 대한 고집은 꺾지 않은 것으로 일선 환자들의 불편이 예상된다. 

    이날 서울대병원 진료를 받고 나온 70대 환자는 "십여 년째 병원을 다니고 있는데 갑자기 휴진을 한다니 이제 어찌해야 할지를 모르겠다"며 "아직 예약 변경이 되진 않았는데 어디 갈 곳이라도 알려주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불편함을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