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예약 외식업 관련 종사자 지난해 대비 3배 늘어'쇼지' 등 외식 컨설팅 사례 소개"'푸드 비즈니스 파트너'로 진화할 것"
  • ▲ 27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진행된 CJ프레시웨이 '푸드 솔루션 페어 2024' 행사장 전경ⓒ조현우 기자
    ▲ 27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진행된 CJ프레시웨이 '푸드 솔루션 페어 2024' 행사장 전경ⓒ조현우 기자
    “지속 성장 가능한 솔루션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네트워크의 장을 마련하게 됐습니다.”

    27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만난 김종선 CJ프레시웨이 상품마케팅본부장은 “푸드 비즈니스 파트너가 CJ프레시웨이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방향”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CJ프레시웨이는 6월 27~28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푸드 솔루션 페어 2024’를 연다. 식자재 유통과 푸드 서비스 등 핵심 비즈니스 역량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행사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열린 푸드 솔루션 페어는 식자재 유통 고객사, 식품 제조 협력사, 솔루션 협력사 등 80여개 브랜드의 상품과 솔루션을 만나볼 수 있다.

    행사는 크게 밀 솔루션(Meal Solution), 외식, 급식 등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됐다.

    밀 솔루션 전시는 식음 사업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어려움과 고객 맞춤형 상품 및 메뉴 기반 솔루션을 조합해 해결안을 제시한다.

    관람객들은 외식 브랜드 정체성부터 메뉴, 상품 디자인까지 해결하는 토탈 솔루션을 비롯해 주방 설계, 장비, 인테리어 등 공간 컨설팅, 외식 메뉴와 디자인에 대한 전반적인 컨설팅을 안내받을 수 있다.

    입구에서 만난 A씨는 “지난해도 왔었는데 매장 운영에 대한 도움이 컸던 기억이 나서 다시 오게 됐다”면서 “외식 관련된 부스를 주로 둘러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 ▲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곳은 외식존이었다.ⓒ조현우 기자
    ▲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곳은 외식존이었다.ⓒ조현우 기자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외식 사업과 컨설팅이었다.

    메뉴 개발부터 조리, 운영·관리 등 전 부문을 케어하고 지원해주는 방식이다. 실제로 CJ프레시웨이 사전등록 신청자 수를 집계한 결과 외식업 종사자에 해당하는 관람객 수는 지난해 대비 3배 이상 증가했다.

    행사장 중앙에는 최근 서울 삼성동에 문을 연 외식 브랜드 ‘쇼지’ 부스가 있었다. 쇼지는 데이터를 활용한 창업 컬설팅의 정수다. 쇼지는 POS 사용 가맹점 1위 기업인 오케이포스가 문을 연 매장으로, CJ프레시웨이가 브랜드 네임과 로고부터 메뉴·인테리어·운영 등 창업에 있어 필요한 ‘0부터 100까지’ 전 과정을 컨설팅해 선보인 곳이다.

    CJ프레시웨이는 오케이포스 데이터를 통해 삼성동에 한식과 일식에 대한 수요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상권 분석에 나섰다. 지난해 11월부터 시작해 올해 6월 문을 열기까지 걸린 시간은 약 7개월. 매장 계약 이후 본격적으로 인테리어와 동선, 개발 등에 소요된 기간은 3개월이다.

    CJ프레시웨이는 효율적인 동선을 고려한 공간 구성과 설비 시공도 진행했다. 전 메뉴의 레시피와 더불어 전용 소스, 양념육 등도 개발했다. 오케이포스는 쇼지의 가맹사업을 위해 법인을 설립하는 등 사업 확장에 나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부스 설명을 맡은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외식 컨설팅의 경우 기획이나 콘셉트 단계만 담당하고 실제 메뉴를 만들거나 인테리어, 메뉴개발 등은 다른 업체에 맡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면서 “기획 단계부터 실제 매장 오픈, 식자재 납품 등 전 과정을 아우르는 컨설팅은 유통업계에서는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쇼지) 케이스 말고도 다른 사례들로 확장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 '쇼지' 부스 모습. CJ프레시웨이는 이번 경험을 고도화해 향후 다른 사례들로 확장해나간다는 계획이다.ⓒ조현우 기자
    ▲ '쇼지' 부스 모습. CJ프레시웨이는 이번 경험을 고도화해 향후 다른 사례들로 확장해나간다는 계획이다.ⓒ조현우 기자
    협력업체의 자동화 기계도 눈에 띄었다. 현재 매장에서 운영되고 있지는 않지만, 추후 다른 브랜드를 론칭하거나 확대할 때 운영효율화를 위해 구축해놓은 시스템이다.

    레시피대로 정량의 재료를 넣으면 자동으로 돌아가며 불맛을 입히는 조리기구부터 1g 단위의 미세한 중량까지 체크해 정확하게 밥을 담는 기계 등도 있었다. 이를 통해 CJ프레시웨이의 ‘원 팩 솔루션’과 연계해 매장 운영에 대한 부담을 던다는 설명이다.

    CJ프레시웨이 관계자는 “전문 셰프들의 레시피를 제품화해 전용 소스·양념 등을 제공하게 된다”면서 “매장에서는 이를 받아 곧바로 조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이날 헬씨누리·아이누리 등 관련 부스에도 협력업체 직원들과 관람객들이 방문했다.ⓒ조현우 기자
    ▲ 이날 헬씨누리·아이누리 등 관련 부스에도 협력업체 직원들과 관람객들이 방문했다.ⓒ조현우 기자
    급식 전시에서는 CJ프레시웨이의 자체 상품 및 서비스 브랜드를 소개한다. 식자재 유통 사업 부문의 생애주기별 급식 식자재 브랜드인 아이누리와 튼튼스쿨, 헬씨누리 등 급식 서비스 브랜드도 만나볼 수 있었다.

    이밖에도 CJ프레시웨이 자체 상품과 국내내 식품 브랜드의 상품을 조합해 선보이는 ‘쿠킹존’과 게임 콘텐츠와 기념 촬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벤트 존’도 운영한다.

    이건일 CJ프레시웨이 대표이사는 “CJ프레시웨이가 솔루션 역량과 협력사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진정한 ‘푸드 비즈니스 파트너’로 진화하는 모습을 함께 지켜봐 주시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