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니 '누산타라 개발' 민간투자 부진탓 지지부진외신 "2단계사업 지연 가능성"…현지기업 텃세도러-우전쟁 격화…트럼프 부진에 휴전협상 가능성↓
-
국내건설사의 해외시장 확장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새블루오션으로 주목받던 인도네시아 수도이전 및 신수도 개발사업과 우크라이나 전후재건 프로젝트가 재정부족과 전쟁 장기화로 기약없이 미뤄지고 있는 까닭이다. 해외수주에서 중동의존도가 심화하고 있는 만큼 대체시장 확보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22일 관련업계와 외신에 따르면 당초 올해 완료예정이었던 인도네시아 수도이전 1단계사업이 재정난으로 인해 지연되고 있다.새수도인 누산타라 상하수도·전력망·도로 등 기반시설 조성이 늦어지면서 오는 9월로 계획됐던 공무원 이주계획도 밀릴 가능성이 높아졌다.사업이 지연되는 이유는 재정부족 때문이다.인도네시아정부는 총사업비 320억달러(42조7200억원) 가운데 20%만 정부재정으로 충당하고 나머지 80%는 민간투자로 확보할 계획이었다.하지만 글로벌기업 등 민간투자가 예상보다 부진하면서 사업은 재정난에 직면했다.현지언론 보도를 보면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은 민간투자 확대를 목표로 토지관련 규제완화와 각국정상에 대한 대외홍보에 나서고 있지만 유의미한 투자 및 계약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줄리아 라우(Julia Lau) 싱가포르동남아연구소(ISEAS) 선임연구원은 현지매체 '스트레이트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외국투자자들이 누산타라에 투자하는 것을 꺼리고 있어 사업지연이 예상된다"며 "누산타라 2단계와 그이후 단계는 더 지연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해당사업은 2045년까지 총 5단계에 걸쳐 진행된다. 현재 진행중인 1단계는 대통령궁·주거단지·전력·수도·철도 등 인프라를 건설하는 것으로 현지건설사들이 공사를 맡고 있다.국내건설사 경우 내년 예정된 2단계사업부터 본격적인 참여가 기대됐지만 1단계에서 일정이 꼬이면서 현지진출 플랜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대형건설 A사 관계자는 "재정부족 외에도 누산타라 인근 산림파괴로 인한 환경단체·원주민 반대, 열악한 건설환경에 따른 공정지연 등이 문제가 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지기업 우대 등 텃세도 만만치 않아 사업수주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국내건설사중에선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대우건설이 신수도 개발사업 진출을 노리고 있다.삼성물산은 지난해 10월 인도네시아 최대 부동산개발기업인 시나르마스랜드와 스마트시티 개발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현지 네트워크 구축에 나섰다.대우건설은 정원주 회장이 지난해 12월 직접 인도네시아를 찾아 현지 10대 부동산디벨로퍼사 CEO 등을 만나며 개발사업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
1200조원 규모에 달하는 우크라이나 전후 재건시장도 국내사들의 참여길이 막혔다.'2024 파리올림픽' 전후로 휴전협상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오히려 전쟁이 치열해진 까닭이다.특히 우크라이나가 최근 쿠르스크 등 러시아 본토일부를 급습 및 점령하면서 휴전 가능성은 더욱 낮아졌다.미국 대선구도도 우크라이나 재건시장 기대감을 낮추는 요인이다.그동안 시장에선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시 휴전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전망됐다.실제로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의 군사지원에 반대하며 자신이 당선되면 내년 1월 취임전 전쟁을 끝내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하지만 그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민주당 대선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에게 밀리며 고전하고 있다.지난 18일 워싱턴포스트(WP) 등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해리스 부통령 49%, 트럼프 전 대통령 45%로 지지율 격차가 벌어졌다.대형건설 B사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경우 휴전이 되더라도 국내사들의 대형프로젝트 수주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전쟁내내 지원을 이어왔던 미국이나 유럽기업들이 사업우선권을 쥘 확률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