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평위 중단 후 16개월만에 새로운 제휴방식 윤곽카카오 정량평가로 제평위 대체, 네이버 유지 가닥새로운 운영방안 이목… “사적 계약관계 존중해야”
  • ▲ ⓒ각 사
    ▲ ⓒ각 사
    네이버와 카카오가 뉴스 편향성 원인으로 지목된 제평위에 대해 엇갈린 대처를 보이면서 향후 개편안에 이목이 쏠린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카카오는 새로운 언론사 제휴 심사방식 도입을 앞두고 있다.

    앞서 네이버와 카카오는 지난해 5월부터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 활동을 중단해왔다. 포털 입점 언론사를 심사하는 기구로 제평위는 언론사 제휴 심사·제재·퇴출 과정에서 기준과 정치적 편향성에 대한 논란이 가중됐기 때문이다.

    네이버는 외부 전문가로 구성한 ‘뉴스혁신포럼’을 출범시키며 새로운 제평위 구성을 논의하고, 뉴스 서비스 부문을 대표 직속으로 개편하며 힘을 싣었다. 카카오는 ‘투명성위원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며 새로운 제휴사 선정 기준 마련에 힘써왔다.

    카카오가 4일 내놓은 새로운 언론사 입점 프로세스는 공정성과 투명성을 역점에 뒀다. 기존 제평위를 대체하는 ‘100% 정량평가’라는 점이 눈에 띈다. 자체기사와 전문기사 생산비율 기준 충족 시 입점 가능하며, 절차를 공개해 투명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기존 제평위가 위원들의 주관이 개입할 여지가 높은 정성평가 비중을 80%까지 배정한 것과 대비된다. 포털 다음은 100% 정량평가를 통해 공신력을 갖춘 언론, 기자단체 소속인지를 확인한 뒤 자체 기사 생산비율이 기준을 충족하는지 평가한다. 새로운 심사 기준은 11월 중 시행하고, 통과 매체는 2025년 1분기부터 입점시킬 계획이다.

    새로운 심사기준이 적용되면 문턱이 낮아지는 만큼 제휴 매체가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제평위 운영 8년간 콘텐츠제휴 합격 매체는 10곳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콘텐츠, 검색 등 제휴 단계를 구분하지 않는 것도 진입장벽을 낮추는 요소다.

    제평위 2.0을 예고한 네이버는 새로운 제휴 심사 방식 공개를 두고 고민이 깊어지는 모습이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위원들은 제평위 활동 재개 시점이 늦어지고 있다며 재촉하는 한편, 콘텐츠제휴사 중 지역매체 비율이 부족하다고도 지적했다.

    김수향 네이버 뉴스서비스총괄 전무는 위원들의 질의에 올해 새로운 제평위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전무는 “올해 안으로 새로운 제평위 출범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지역매체 활성화라는 취지에 동감하며, 새로운 제평위에서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사적기업의 계약을 제한하는 상황에 부담을 느껴 제평위가 앞서 운영을 중단했다고 진단했다. 정치권이 편향성 문제를 지적하며 개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이다.

    제평위원으로 활동한 유홍식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포털과 언론사간 계약을 공적기구가 나서서 제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정량평가든 정성평가든 네이버와 카카오가 도입하는 것에 대해 책임지는 방향으로 가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이어 “콘텐츠제휴, 검색제휴 선정 등 뉴스 공급과 정당한 대가를 받는 것이 어떻게 진행될지가 관건”이라며 “고품질 뉴스 상위 노출방식은 평가방식에 논란이 있을 수 있고, 이용량에 따른 방식은 품질 저하로 이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해결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