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스케일 AI DC 구축, 175조원 경제효과 기대클라우드 GPU 서비스 론칭, 소버린 AI 구현에지 AI 구축, 솔루션 기반 글로벌 진출
  • ▲ ⓒ뉴데일리 김성현 기자
    ▲ ⓒ뉴데일리 김성현 기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그룹의 AI 선봉장으로서 AI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 중심 AI 비전을 공개했다.

    유 대표는 4일 그룹사 AI 전략과 기술력을 선보이는 ‘SK AI 서밋 2024’에 기조연설을 맡아 ‘Building the AI Infra Super-Highway’를 주제로 발표했다.

    SK텔레콤이 새로 제시하는 AI 비전은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다. 유 대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기반으로 ICT 강국 반열에 올랐던 것처럼, 인프라에서 출발하는 성공방정식이 AI 시대에도 적용될 수 있다”며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앞장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AI 인프라 슈퍼 하이웨이란 ▲AI데이터센터(이하 AI DC) ▲GPU 클라우드 서비스(GPUaaS) ▲에지AI(Edge AI) 등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전국 AI 인프라를 구축하는 구상이다.

    SK텔레콤은 국내 지역 거점에 100MW 이상 전력이 필요한 하이퍼스케일 AI DC를 시작으로, 향후 규모를 GW급 이상으로 확장할 방침이다. 데이터센터는 4년 뒤 2배이상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는 산업군이다.

    유 대표는 “지역 거점에 대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아시아 태평양 허브로 성장시키고자 한다”며 “지역에 위치한 신재생 에너지인프라를 활용하고, AI로 최적화한 데이터센터 솔루션을 통해 효율적인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겠다”고 강조했다.

    SK텔레콤은 효율적인 데이터센터 운영을 위한 솔루션도 갖췄다. SK 그룹의 차세대 반도체와 액침냉각 등 에너지 솔루션, AI 클러스터 운영 역량을 결합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효율적인 AI DC를 구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오는 12월 판교에는 그룹의 역량과 솔루션이 결집된 AI DC 테스트베드를 오픈할 계획이다. 엔비디아 최신칩과 하이닉스 HBM 등 첨단 AI반도체와 차세대 액체 냉각 솔루션 3종이 적용된다. GPU 가상화 솔루션과 저탄소 LNG 발전, SMR(소형 원자로)과 연료전지 등 AI 에너지 최적화 기술 등이 구현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중장기적으로 GW급 AI DC를 통해 ▲50조원 이상의 신규 투자 유치 ▲55만명 이상의 고용 창출 ▲175조원 이상의 경제 효과 ▲지역에서의 AI 첨단산업 육성이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또한 SK텔레콤은 수도권에 위치한 가산 데이터센터를 AI DC로 전환하며 클라우드 형태로 GPU를 제공하는 GPUaaS를 출시할 계획이다.

    유 대표는 “국내에 있는 고성능 GPU인 H100은 2000여개에 불과한 것으로 보여진다”며 “인프라와 자금이 부족한 스타트업에 GPU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해 국내 AI 생태계 활성화를 지원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SK텔레콤은 지난 8월 미국 람다와 AI 클라우드 공동 사업 파트너십을 통해 엔비디아 GPU를 가산 데이터센터에 배치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12월 H100 기반의 GPUaaS를 시작으로 2025년 3월에는 최신 GPU H200을 도입할 방침이다.

    국내 AI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국형 소버린 AI’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유 대표는 “세계 각국은 해외로 유출되지않는 안전한 소버린 AI를 요구하고 있다”며 “2025년부터 총 1000억원을 투자해 파트너사들의 AI DC 솔루션을 결합한 고유의 AI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국에 연결된 통신 인프라를 활용해 AI DC와 ‘온디바이스AI’ 사이 간극을 메울 수 있는 ‘에지 AI’를 도입한다. 에지AI는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AI 컴퓨팅을 결합한 인프라로 지연 속도와 보안 측면에서 유리하며, 온디바이스AI 대비 대규모 AI 연산이 가능하다.

    SK텔레콤은 선행 기술 연구와 함께 글로벌 파트너사들과 공동으로 통신 인프라를 활용한 AI DC 구축과 맞춤형 서버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헬스케어, AI로봇, AI CCTV 등 6개 영역에서 에지AI 특화 서비스 발굴을 위해 다양한 PoC(실증사업)를 추진 중이다.

    유 대표는 “지금까지 통신 인프라는 속도와 용량 싸움이었으나, 이제는 네트워크 진화의 패러다임이 변화해야 한다”며 “향후 6G는 통신과 AI가 융합된 차세대 AI 인프라로 진화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SK텔레콤은 AI 반도체와 데이터센터, 에너지 솔루션을 결합한 AI DC 토탈 솔루션으로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GPUaaS 기반 파트너십을 맺은 람다 등과 함께 GPUaaS 글로벌 사업 기회를 모색한다. 에지 AI의 글로벌 기술 표준화를 선도하고 선행 기술을 공동 연구하는 등 6G의 AI 인프라 전환을 위한 노력도 병행할 방침이다.

    유 대표는 “대한민국의 AI G3 도약이라는 사명 아래 AI 인프라 슈퍼하이웨이를 구축 중”이라며 “새로운 미래를 정부와 지자체, 기업이 함께 만들어 갈 수 있도록 힘을 모으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