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대통령, 중국에 34% 상호관세 부과 발표중국, 미국에 34% 관세율로 맞대응 예고희토류 수출 통제 시행 등 강공 모드틱톡 금지법 등 대화 여지는 남아있어
  • ▲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
    ▲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연합뉴스
    미국이 중국을 포함해 전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를 부과하자 중국이 맞불 관세로 반격에 나섰다. 세계 1, 2위 경제 대국인 미국과 중국이 고율관세 주고받기를 예고하면서 트럼프발 무역전쟁이 전 세계에 미칠 파장이 우려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전 세계를 상대로 상호관세(보편관세 10% 포함)를 부과하기로 했다. 중국에 대해서는 34%의 관세율을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중국은 지난 4일 미국에 대해 34% 관세율을 적용하는 맞불관세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희토류에 대한 수출 통제 조치와 미국 군수기업 16곳에 대한 이중용도 물품(군수용으로도 민간용으로도 쓸 수 있는 물품) 수출 금지 등을 시행하기로 결정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시작된 지난 1월 20일 이후 미국으로 유입되는 합성마약 펜타닐의 원료 출처가 중국이라고 지목하며 중국에 10%씩 2차례 관세를 올렸을 때만 해도 중국은 보복 조치를 취하긴 했으나 액화천연가스(LNG) 등 일부 품목에 국한됐다. 

    하지만 중국이 이번에는 비례적 맞불관세와 함께 전 세계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희토류 수출통제까지 꺼내들며 공세를 펼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이 전 세계를 상대로 하면서 국제사회의 대미 여론이 호의적이지 않고 미국 현지에서 주가가 연일 급락하는 등 중국은 상황이 자신들에게 불리하지 않다고 판단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과 중국이 34%의 관세 장벽을 세울 경우 전 세계에 상당한 충격을 미칠 전망이다. 

    특히 높아진 관세장벽으로 인해 미국 시장으로 들어가지 못한 중국 제품이 미국 이외의 시장에 저가로 대거 풀릴 가능성이 있다. 이럴 경우 전문가들은 한국이 미국 수출품에 대한 25% 상호관세와 함께 중국산 물품의 대거 국내 유입이라는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이 전면적인 관세 충돌 피할 수 있는 시간은 불과 나흘밖에 남지 않았다. 미국의 상호관세 행정명령이 발효되는 9일부터 중국에 34%의 관세가 적용될 경우 중국은 그 이튿날부터 미국산 제품에 대해 34%의 추가 관세로 대응할 예정이다. 

    두 강대국이 자존심을 내세우며 '2차 미중 무역전쟁'을 시작할 지 혹은 결국 협상에 나서며 파국을 피할지에 대해 전 세계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집권 1기 때의 경우 2018년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무더기로 관세를 부과하면서 양국이 서로 관세와 보복관세를 주고받다 2020년 초 1단계 무역 합의라는 미봉책에 합의한 바 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계 동영상 공유 사이트인 틱톡의 미국 내 사업 매각 시한을 75일 연장하며, 중국과의 대화 가능성을 열어두면서 '틱톡'이 양측의 충돌을 막는 역할을 할지 주목된다. 

    실제로 트럼프는 앞서 중국이 틱톡 매각에 협조하면 관세 인하를 검토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틱톡'을 매개로 한 양측 협상이 막장으로 치닫고 있는 고율 관세 충들을 막을지, 아니면 본격적인 2차 무역전쟁으로 번질지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