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5일 전 증권사 대상 긴급 현안 간담회 개최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관련 전 증권사 대비 상황 점검'종합 컨틴전시 플랜' 마련 주문…시장 변동성 대응 최적화
  • ▲ ⓒ금융감독원
    ▲ ⓒ금융감독원
    금융감독원이 최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와 관련해 국내 증권사에 최고경영자(CEO)를 중심으로 한 종합 대책을 마련할 것을 주문했다.

    금감원은 5일 국내 36개 증권사 CEO 등과 긴급 현안 간담회를 개최하고, 최근 정치 상황 변화에 따른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와 관련한 전 증권사의 대비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번 간담회에서 최근 정치상황 변화에 따른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대한 국내외 우려의 목소리가 확산하는 상황에서 국내 증시의 외국인 자금 유출은 제한적이고, 국채선물을 순매수하는 등 시장이 안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주요 선진국 증시와는 달리 우리 증권시장의 체력은 그 어느 때보다 약화돼있으며, 향후 국내외로부터 추가적인 충격이 가해질 경우 금융 전반의 시스템 리스크로의 전이도 우려된다고 밝혔다.

    이에 금감원은 증권사에 CEO를 중심으로 유동성, 환율 등 위험 요인별로 시장 상황 급변 등에 대비한 '종합 컨틴전시 플랜(Contingency plan)'을 마련하라는 긴급 현안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날 함용일 금감원 부원장은 "만일의 상황에 긴밀히 대응해주길 바란다"라며 "금융당국과 긴밀한 협조 체계를 유지해 시장 변동성 대응 역량을 최적화하길 당부드린다"라고 말했다.

    함 부원장은 "영업 과정에서 투자자 보호에 소홀함이 없도록 불공정 거래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내부통제 기능이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CEO가 직접 챙겨주길 바란다"라며 "금융당국도 모든 시장 불안요인에 대응하기 위해 무제한 유동성 공급 등 가용한 모든 시장안정 수단을 동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현재 추진 중인 자본시장 선진화 과제도 흔들림 없이 신속하게 마무리할 것"이라며 "우리 자본시장과 국민 자산을 굳건하게 지켜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금감원은 이와 더불어 전사 차원의 수직적‧수평적 내부통제 강화를 주문했다. 

    최근 잇따른 증권사 임직원의 사익추구 행위, ETF LP 금융사고 등은 내부통제 부실에 근본적인 원인이 있으므로 본부장 등 책임자에 의한 '수직적 내부통제'와 리스크·준법 등 관리부서에 의한 '수평적 내부통제'의 관점에서 감시·견제적정성을 CEO 책임하에 정밀 점검해야 한다는 요청이다. 

    단기실적을 과도하게 유인하는 현행 성과보수 체계도 재설계하라고 밝혔다.

    최근 신한투자증권의 금융사고 역시 단순 헷지 업무 부서에 PI 부서와 동일한 성과체계를 적용함에 따라 과도한 투자거래가 발생한 바, 증권사 업무 단위별로 본연의 업무 목적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성과보수 체계의 재설계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투자자의 신뢰를 외면하는 영업 관행에 대해선 엄중히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함 부원장은 "최근 증권사가 IPO 주관업무 등 수행 과정에서 고객과의 정보비대칭 등을 악용해 발행회사 또는 증권사 자기 이익만을 추구하는 행위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라며 "투자자와의 이해 상충 관리를 게을리하거나 주관사 주의의무를 위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엄중 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