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상치 하회한 월마트 실적 전망에 투심 하락부진한 경기선행지수에 견조한 고용지표美 재무장관 장기물 발행 ‘시기상조’ 발언에 10년물 하락
-
뉴욕증시 3대 지수가 일제히 하락했다. 미국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 실적 전망 하향과 부진한 경제지표에 투자심리가 악화됐다.20일(현지시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50.94포인트(-1.01%) 내린 4만4176.65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26.63포인트(-0.43%) 하락하며 6117.52를 기록했고, 나스닥 지수는 93.89포인트(-0.47%) 내리며 1만9962.36에 거래를 마감했다.이날(현지시간 20일) 시장은 월마트 실적과 경제지표 등을 주목했다.미국 최대 유통업체 월마트는 개장 전 지난 4분기 실적을 발표했다.월마트는 지난 4분기 1805억5000만달러의 매출과 0.66달러의 주당순이익(EPS)을 각각 발표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는 수치다. 하지만 2026 회계연도 매출 성장률을 3~4%로 제시하며 시장 예상을 하회하자 실망 매물이 쏟아졌다. 향후 실적 경계감이 높아진데 따른 매수 심리가 가라 앉은 것으로 풀이된다.월가에서 월마트의 실적은 소비자 심리에 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기 때문에 주목도가 높다. 월마트 실적 둔화는 소비자들의 심리가 하락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판단될 수 있다.이날 발표된 경제지표는 부진했다.미국 경제분석기관 콘퍼런스보드가 공개한 1월 경기선행지수(LEI)는 전달 대비 0.3% 하락하며 직전 두 달간의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를 하회하는 수준이다.고용시장도 여전히 견조했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주 신규 주간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직전 주 수정치(21만4000건) 대비 5000건 늘어난 21만9000건을 기록했다. 이는 시장 예상치(21만5000건) 대비 4000건 많았지만, 코로나19 이전과 비슷한 수준으로 여전히 고용시장이 견조하다는 분석이다.국채 금리는 소폭 하락했다.이날 10년 만기 국채 금리와 30년 만기 국채 금리는 각각 4.502%, 4.744% 부근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4.268% 수준까지 하락했다.이날 스콧 베센트 재무장관은 장기물 국채 발행 확대 가능성에 대해 "아직은 시기상조"라고 밝히며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을 끌어내렸다.3월 금리 인하를 비롯해 상반기 금리 인하 확률은 여전히 낮았다.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금리선물시장은 현재 연준이 3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0.25% 금리 인하 확률은 2.00%를 기록중이다. 5월과 6월 기준 기준금리를 0.25% 인하할 확률도 각각 18.5%, 45.7%에 그치고 있다.애플(0.39%), MSFT(0.53%), 아마존(-1.65%), 메타(-1.27%), 테슬라(-1.71%), 알파벳(-0.38%) 등 대형 기술주가 혼조세를 보였다.애플은 자체 인공지능(AI) 시스템 '애플 인텔리전스'를 탑재한 저가형 아이폰16e 출시 기대감에 상승했다.마이크로소프트는 전날 자체 개발한 첫 양자 컴퓨팅 칩 마요라나1 발표에 힘입어 2거래일 연속 상승흐름을 가져갔다.엔비디아(0.63%), AMD(-0.45%), 퀄컴(-0.87%), 브로드컴(-0.87%), 마이크론(-1.13%), ASML(-0.23%), TSMC(-0.42%) 등 AI관련주는 소폭 하락했다.국제유가는 상승했다. 뉴욕상업거래소의 미 서부텍사스산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 대비 0.47% 상승한 배럴당 72.44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