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신 의무 없는 1, 2세대 기존 가입자 유인책 결여권익위 권고에도 2009년 이후 보장서 제외 '한계 봉착' 고령층 선호도 높은 치료 보장으로 자발적 가입 유도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는 정부가 추진 중인 5세대 실손보험 개편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 '치료목적의 한의 비급여' 보장이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2일 밝혔다.

    지난 1일 금융위원회는 대표적인 과잉 진료 항목으로 지적돼 오던 도수치료와 각종 미용 주사 등을 보장 범위에서 제외하는 '5세대 실손보험' 내용을 공개하고 올해 말 출시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2세대 일부와 3세대, 4세대 실손보험 가입자는 향후 계약이 만료된 이후 재가입을 원할 경우 새로 출시되는 5세대 실손보험에 가입해야 한다. 

    관건은 실손보험 갱신 의무가 없는 1600만여명에 이르는 1세대와 2세대 초기 가입자들이다. 

    정부와 보험업계는 보험료 과다 지출 등을 막기 위해 이들의 5세대 실손보험 전환을 적극 유도한다는 방침이지만 보험사가 가입자의 기존 계약을 돈으로 사들인다는 막연한 방법 외에는 아직까지 뚜렷한 방안이 없는 상태다. 

    한의협은 "1세대와 2세대 초기 가입자들의 5세대 실손보험으로 유입을 위해 국민의 요구도와 만족도, 특히 고령층의 선호도가 높은 치료목적의 한의 비급여 항목을 포함시켜 자발적인 전환을 유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이 아닌 보험사의 이익을 대변하고 있는 이번 5세대 실손보험 내용에 국민과 시민단체의 실망감이 큰 상황에서 무조건 혜택을 줄이는 것이 아닌 균형감 있는 조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한의 치료의 비급여 의료비는 2009년 10월 표준약관 제정 이후 보장에서 제외됐다. 

    2014년 국민권익위원회는 '치료 목적이 명확한 한의 비급여 의료비는 실손의료보험에서 보장해야 한다'고 복지부와 금융위에 권고했으나 아직 미반영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