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법 시행령' 개정안 입법예고농수산물가공·처리시설 면적 제한 완화
  • ▲ 농지법 시행령 개정안. ⓒ농림축산식품부
    ▲ 농지법 시행령 개정안. ⓒ농림축산식품부
    농업진흥지역에 근로자 숙소와 무더위·한파 쉼터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농수산물가공·처리시설 등의 설치 면적 제한도 완화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진흥지역 내 허용 시설과 면적을 확대하는 등 농지규제를 완화하는 '농지법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한다고 7일 밝혔다. 

    현장의 고용안정과 주거환경 개선 요구에 지난해 7월 농업진흥지역 내 농업인 주택을 근로자 숙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한 데 이어 농수산물가공·처리시설 또는 산지유통시설의 부지 내에서 시설면적의 20%까지 근로자 숙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했다. 

    폭염, 한파와 같은 자연재해에 대비해 농업인들이 안전한 영농활동을 할 수 있도록 농업진흥지역에 무더위·한파 쉼터도 설치가 가능해진다.

    농수산물가공·처리시설, 관광농원 및 농어촌체험·휴양마을의 설치 면적 제한이 완화된다. 이에 따라 농수산물가공·처리시설과 관광농원은 3㏊미만까지 농어촌체험·휴양마을은 2㏊미만까지 설치가 가능해진다.

    공공주택지구와 도시개발구역 등 농지전용 권한이 지자체에 위임되는 지역·지구*에 농촌특화지구가 추가된다. 농촌공간재구조화법에 따른 농촌특화지구는 농촌공간을 효율적으로 개발·이용·보전하거나 삶터·일터·쉼터로서의 농촌의 기능을 재생·증진하기 위해 지정하는 지구다.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지구내 필요시설과 입지를 위한 농지전용의 지자체 자율성이 확대돼 인구소멸과 지역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기대하고 있다.

    농지 임대차와 위탁경영 등의 예외가 허용되는 농지이용증진사업 시행자의 요건을 완화해 농업 경영의 규모화를 도모한다.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사업에 참여하기 위한 단체 구성 농업인 수를 10명에서 5명으로 축소하고, 농업법인의 경우 단독으로 사업 시행이 가능하도록 개선된다. 농업진흥지역 지정·변경·해제 정보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기 위해 시·도지사가 농업진흥지역 도면과 변경 토지조서 등 자료를 농업진흥지역시스템을 관리하는 한국농어촌공사에 제공하도록 의무화했다. 

    시행령 개정안은 다음달 19일까지 입법예고를 통해 이해관계자 등 의견 수렴을 진행하고 상반기 중 시행될 예정이다.

    윤원습 농식품부 농업정책관은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농산업 경쟁력 강화, 기후변화 대비 영농환경 개선 및 농촌 공간의 체계적 개발 등을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도록 속도감 있게 농지 규제혁신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