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업종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가 발표된 가운데 산업계는 환경을 생각해야 한다는 기본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큰 부담을 안게 된 데 대한 우려를 쏟아냈다.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에서 202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의 30%를 줄여나가기 위한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확정했다.

    이에 대해 전국경제인연합회 등 경제단체와 관련 업계는 그동안 충실히 에너지 절감 대책을 마련해 에너지 효율을 끌어올린 상황에서 추가적인 감축은 부담스럽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전경련 임상혁 산업본부장은 "이날 발표된 부문별 온실가스 감축목표가 산업계의 감축 역량에 비해 다소 과도하다는 우려가 산업계 내부에서 제기되고 있다"며 "주력산업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하고 있어 추가적인 에너지 절약 및 온실가스 감축 여력이 제한적이라는 점이 고려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 최광림 실장은 "기본적으로 온실가스를 감축하려는 정부의 입장에는 찬성하지만 산업 분야보다 비산업 분야가 더 온실가스를 많이 줄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당장 9월까지 구체적인 감축 목표를 할당받는 기업들은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특히 철강이나 석유화학 등 업종은 이미 세계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해 추가 감축 여력이 많지 않다며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설정한 목표에 산업계가 제시한 수치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 기본적인 목표 배출량을 미리 설정해놓으니 협의가 될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불만을 토로했다.

    이 관계자는 "정부가 제시한 2020년 온실가스 배출전망치(8억1천300만 CO2eq)는 2007년 자료로 산정돼 이후 달라진 상황이 반영되지 않았다"며 "온실가스를 구체적으로 어떻게 줄일 수 있는지 차근차근 짚어보고 배출권 거래제도의 실효성도 점검하는 등 좀 더 정교한 검토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송 분야도 불만이 없을 수 없다.

    항공업계는 연료효율성이 높은 새 기종을 도입하는 등 온실가스 감축에 꾸준히 노력해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술적 한계가 있는 만큼 정부가 업종별 세부 감축안을 정할 때 업종별 여건을 고려해 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공성이 강한 항공과 철도 등에 자동차와 같은 온실가스 감축 기준을 적용하는 것은 공공교통 수단의 확충이라는 정부 정책과 모순된다"고 말했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주요 상대국인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의 환경 규제가 워낙 엄격한 탓에 수년 전부터 선제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노력을 해온 터라 온실가스 감축목표에 큰 어려움 없이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