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43차 세계경제포럼(WEF) 연례회의인 일명 다보스포럼이 23일(현지시간)스위스 동부 스키 휴양지인 다보스에서 나흘간의 일정으로 개막했다.

    WEF는 그동안 금융위기에서 비롯된 침체에서 벗어나 성장동력을 되찾으려는 방안을 모색하자는 취지에서 올해 포럼 주제를 `탄력적 역동성(resilient dynamism)'으로 정했다.

    재정 긴축과 경기 부양 간의 괴리를 극복할 수 있는 정책적 균형점을 모색하고 경기후퇴에 따른 실업 대책과 청년 실업 문제 등 성장을 위한 근원적인 의제가 활발히 논의될 것으로 예상한다.

    WEF 창시자인 클라우스 슈밥(74) 회장은 전날 저녁 다보스포럼 환영식 연설에서 "내 바람은 우리가 목격해온 위기와 단지 싸우는 것을 넘어서 그 이상의 비전을 갖고 이 포럼을 마치는 것"이라고 말했다.

    슈밥 회장은 이에 앞서 언론들과 가진 인터뷰에서 "세계는 위기로 가득차 있어 단지 경제 위기만 대처할 수는 없다"면서 "우리는 정치적인 위기에 더욱 대응력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충격을 주는 부정적인 효과를 뜻하는 `블랙 스완 효과(black swan effect)'에 빗대어 세계의 안녕을 위협하는 요소로 시리아와 말리 내전 등 정치적인 이슈를 강조했다.

    이번 포럼에서 경제문제에 관해서는 낙관론이 우위에 있다.

    미국 투자은행인 JP모건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는 "은행들은 과거로부터 복귀해야 한다"면서 "많은 은행들이 잘 하고 있으며 계속 확장할 것"이라고 은행 산업의 자신감을 대변했다.

    이번 포럼에는 전 세계 2천500여명의 정·재계 지도자들과 언론인들이 참석한다.

    주요 인사로는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 데이비드 캐머런 영국 총리, 마리오 몬티 이탈리아 총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 등 50여개국 정상이 참여한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앙헬 구리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 김용 세계은행(WB) 총재, 크리스틴 라가르드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등 국제기구 수장들과 브라이언 모이니핸 뱅크오브아메리카(BoA) 최고경영자(CEO), 조지 소로스 소로스펀드매니지먼트 회장 등 글로벌 금융계 거물들도 참석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 특사로 새누리당 이인제 의원을 비롯해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 한덕수 무역협회 회장, 허창수 전경련 회장, 전광우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최태원 SK㈜ 회장 등이 자리를 함께한다.

    개막일인 23일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가 첫 번째 연사로 나서 러시아의 경제 현황과 관해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