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1000대 기업 재무담당자 자금사정 인식조사 악화 비중 높은 산업, 건설 > 철강 > 석유화학악화 요인, 환율 상승> 원자재·인건비 상승 > 금리“대내외 불확실성 해소, 외환 변동성 완화 필요”
-
- ▲ ⓒ한국경제인협회
대기업 10곳 중 3곳의 자금 사정이 작년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올해 환율 상승과 인건비 상승 등에 따라 지출은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기업들의 자금 운용이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5일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1000대 기업(공․금융기업 제외, 100개사 응답)을 대상으로 자금사정을 조사한 결과, 전년 대비 올해 자금사정이 악화됐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31%로 집계됐다. 이는 호전됐다는 응답 11%의 약 3배로, 기업들의 자금 사정이 악화된 것을 의미한다.업종별로 자금사정이 ‘악화됐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을 보면 건설·토목이 50%로 가장 높았다. 이어 금속(철강 등 45.5%), 석유화학 제품(33.3%) 순이었다. 한경협은 이들 업종이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둔화와 글로벌 공급과잉 영향으로 장기 부진을 겪고 있어 자금 조달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기업들은 자금사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고환율과 물가 부담을 지적했다. 구체적으로는 환율 상승(24.3%)이 가장 많았고 ▲원자재 가격 및 인건비 상승(23.0%) ▲높은 차입 금리(17.7%) 등도 부담요인으로 꼽혔다.자금사정은 어려워졌지만 올해 기업들의 자금수요는 연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작년과 비교해 자금수요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36.0%)은 감소(11.0%)에 비해 3배 이상 많았다. 기업의 과반(53.0%)은 올해도 작년과 유사한 수준에서 지출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자금수요가 주로 발생할 것이라고 예상되는 부문은 원자재․부품 매입(39.7%)이 가장 많았다. 이어 ▲설비투자(21.3%) ▲차입금 상환(14.3%) ▲인건비·관리비(14.0%) 순으로 조사됐다.또한 지난 2월 25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0%에서 2.75%로 0.25%포인트(p) 인하했지만 여전히 기업 5곳 중 1곳(20.0%)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을 감당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구체적으로 회사가 감당할 수 있는 기준금리 임계치주가 현재 기준금리(2.75%) 보다 낮다고 응답한 기업 비중은 ▲기준금리2.5%(14.0%) ▲2.25%(4.0%) ▲2.00%(2.0%) 등이었다.기업들 절반이상은 올해 연말까지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가 없을 것으로 봤다. 기업 10곳 중 6곳(58.0%)은 연말 기준금리가 현 수준(2.75%)에서 머물거나(36.0%), 오히려 1차례 이상 인상(22.0%)될 것으로 전망했다.한경협은 고환율 지속으로 수입물가 상승에 대한 불안심리가 커짐에 따라 기업들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보수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풀이했다.기업들은 올해 원·달러 환율 최고점이 1500원에 근접(1495.8원, 응답기업 평균)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1475원~1500원 구간을 예상하는 응답(28%)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1500원~1525원(24%) ▲1450원~1475원(23.0%) 순으로 나타났다.안정적인 자금 관리를 위해 정책당국에 바라는 과제로는 대내외 불확실성 해소 노력(34.3%)을 최우선으로 꼽았고 ▲환율 등 외환시장 변동성 최소화(25.7%) ▲정책금융 지원 확대(15.3%) ▲원자재·소재·부품 수급 안정화(12.3%) 등을 지적했다.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극심한 경기불황을 겪고 있는 건설, 철강, 석유화학을 중심으로 기업들의 자금사정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면서 “환율 변동성을 축소해 기업들의 외환 리스크를 완화하고 정책금융·임시투자세액공제 확대 등의 금융·세제지원이 요구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