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행, 담보대출 증가... 리스크 관리 집중기업은행, 비담보대출 69% 급증... 문턱 낮추기?
-
-
- ▲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민은행이 담보대출 비중을 가장 크게 늘린 반면, 기업은행은 비담보대출을 70% 가까이 늘려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 뉴데일리 DB
8개 주요 은행 가운데
<국민은행>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담보대출 비중을
가장 크게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을 주고객으로 하는 <기업은행>은
비담보대출을 70% 가까이 늘려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담보대출 비중이 늘었다는 것은
해당 은행이
리스크관리를 위해
신용대출을 줄여나갔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는
시중은행 8곳의
담보형태별 원화대출금 추이를 분석해
22일 이같이 밝혔다.
◆ 담보대출 증가 최다 [국민은행],
리스크 관리 힘 써
5년 동안
담보대출 비중이 가장 크게 늘어난 곳은
국민은행이다.
국민은행은
2008년 53.3%에서
올해 61.1%로
7.7%포인트 높아졌다.
이어
<우리은행>이 42.8%에서 45.4%로 2.6%포인트,
<씨티은행>이 53.1%에서 54.1%로 1%포인트 오르면서
뒤를 이었다
반면 [SC은행]은
담보대출 비중이
71.8%에서 63.9%로
7.9%포인트나 낮아져
감소 폭이 가장 컸다.
“다른 은행에 비해소호(SOHO) 대출 비중이 높다 보니담보대출이 많이 늘어난 것 같다”- 국민은행 관계자
소호(SOHO, 개인자영업자)대출이란
법인사업자가 아닌
개인사업자를 대상으로 이뤄지는 대출이다.
새 정부 들어
[서민금융서비스]가 확대돼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면서
은행들이 소호대출을 늘리는 추세다.
◆ 기업은행, 비담보대출 급증
“중소기업 지원이 먼저”
기업은행은
2008년에 비해 담보대출을 31.6% 늘렸지만
비담보대출이 56조 원에서 95조 원으로
무려 69%나 증가했다.
“개인고객보다 기업금융 비중이 더 높은기업은행이[상생경영]을 위해중소기업을 대상으로보증이나 신용대출을 크게 늘렸기 때문인 것으로풀이된다”-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
◆ 금액으로 본 담보대출,
SC은행 제외, 전 은행 늘어
비중이 아닌 금액으로 따질 때,
담보대출금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47조 원에서 62조 원으로 32.3% 증가한
<하나은행>이다.
이어
기업은행 31.6%
국민은행 29.1%,
우리은행 26.1%,
신한은행 24.1%,
씨티은행 7.5%,
외환은행이 4.4%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담보대출 금액이 감소한 곳은
20조8천억 원에서 17조6,000억 원으로
15.6% 줄어든
[SC은행이] 유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