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웃도어 의류 더러워지거나 발수기능 떨어졌을 때 세탁 필요
  • 

  • ▲ ⓒ연합뉴스 제공
    ▲ ⓒ연합뉴스 제공

     

    국내 등산 인구는
    1,800만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특히 이들은 대부분 1벌 이상씩 [고어텍스] 재킷을 갖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고어텍스는 빨면 안 된다"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13일 의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지금도 국내 아웃도어 의류 수선실에는
    10년 이상 빨지 않아 지독한 냄새가 풍기는
    고어텍스 재킷이 심심찮게 등장한다.

     

    그러나 이런 일반 상식과는 달리
    고어텍스는 빨지 않을수록 손상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고 한다.


    외부 얼룩과 몸에서 나온 땀과 유분을 제거해 주지 않을 경우
    멤브레인이 부착된 고어텍스 섬유의
    [방수],
    [투습],
    [발수] 등 제 기능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설상가상으로
    [박테리아]까지 번식해
    [멤브레인]을 갉아먹기도 한다.

    이런 경우 겉보기엔 멀쩡할지 몰라도
    이미 안은 망가질 대로 망가져
    사실상 기능을 상실한
    겉껍데기만 남는 옷이 된다.

    고어텍스의 경우
    안감에 멤브레인을 부착하는데
    [멤브레인]은 입자가 큰 물분자의 경우 통과하지 못하지만,
    등산 등 운동 과정에서 나오는 증기 형태의 땀은
    물분자보다 작아 외부로 배출되는 기능을 갖게 한다.

    국내에서는 몇 년 전부터 인식이 바뀌어
    고어텍스를 중성세제로 [손빨래] 하는 이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미국, 독일, 영국, 일본 등에선 이미 오래전부터
    고어텍스 의류를 [세탁기]로 빤지 오래다.


    고어텍스 소재를 사용하는 모든 의류는
    출시 전 [고어텍스]사의 실험실로 보내지며,
    500시간 이상 물세탁한 뒤
    봉제에 이상이 없는 제품만 시중 판매를 허가한다.


    지퍼, 단추, 벨크로 등을 모두 잠근 채
    단독으로만 빤다면
    기능성 아웃도어 의류를 세탁기에 넣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니다.

     

    여기서 주의 할 점은 아웃도어 의류는
    전용세제를 이용해 미지근한 물에서 세탁해야 한다.

    일반 세제의 경우 섬유에 찌꺼기를 남기는데,
    물을 빨아들여 발수성과 통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아웃도어 전용세제
    제품의 오염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
    본래의 발수성까지도 회복시켜준다.

    반면 표백제나 가루비누, 섬유유연제는
    기능성 옷감에 손상을 줄 수 있다.


    기름으로 옷의 오염을 제거하는 드라이클리닝 역시
    옷감을 손상시킬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다.


    세탁이 끝나면 비틀어 짜지 말고
    직사광선을 피해 그늘에서 말리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