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까지 5529억원 투자
  • ▲ 서울 종로구 도시재생선도사업 지역의 모습.ⓒ국토교통부
    ▲ 서울 종로구 도시재생선도사업 지역의 모습.ⓒ국토교통부

    국토교통부는 전국 13곳의 도시재생 선도지역 중 1차로 부산시(경제기반형)·서울시·창원시·영주시(근린재생형) 등 4곳에 대해 총 5529억원 규모의 사업계획을 12일 승인했다.


    사업비 규모는 부산 2952억원, 서울 종로구 459억원, 창원 1765억원, 영주 353억원 등이다.


    이들 지역은 지난해 6월 제정된 도시재생특별법에 따라 쇠퇴가 심각하고 사업 파급효과가 높다고 판단돼 지난 5월 지정됐다.


    각 지자체는 주민·공공기관·지역단체 등과 함께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을 세웠으며 계획안은 국무총리가 위원장인 도시재생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확정됐다.


    국토부는 2017년까지 4년간 이들 지역에 1100억원(지방비 50%)을 지원한다. 문화부·중기청 등 12개 관계부처도 협업을 통해 25개 사업에 2215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신설되는 주택도시기금 등 정책금융과 건축규제 완화 등 행정적 지원을 통해 1400억원 규모의 민간투자 사업도 지원한다.


    경제기반형 도시재생사업이 추진되는 부산은 한국전쟁 피난민 정착과 항만 운영 등으로 번영했던 부산역-부산항 일원이 부산항 기능 이전으로 공동화되는 것을 재정비하게 된다.


    부산역 일원에 ICT(정보통신기술), 관광, 영상 등 신산업 기능을 유치하고 배후 상업·주거지역의 차이나타운, 산복도로 마을 등을 활용하는 도시관광 사업이 펼쳐진다.


    이를 위해 북항과 부산역·원도심을 연결하는 창조지식플랫폼을 건립하고 미래부의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입주할 계획이다.


    서울 종로구는 봉제산업 침체와 8년간의 뉴타운 사업 지연으로 주민 갈등과 주거환경이 악화한 창신동·숭인동 지역을 회복시키는 사업이 전개된다.


    기존 봉제산업을 특화하기 위해 폐·공가를 청년 디자이너들의 의류상품 제작 공간으로 제공하고 인근 동대문 패션상가와 연계해 판로를 구축하게 된다.


    유네스코 유산 등록을 추진 중인 한양 성곽을 활용해 마을관광자원 개발과 주거환경 개선사업 등도 추진한다.


    창원은 1980년대 전국 7대 도시였으나 공공청사 이전과 국내 첫 자유무역항인 마산항 기능 축소로 인구가 감소한 옛 마산지역(오동동·동서동 일원)을 중심으로 사업이 펼쳐진다.


    이은상, 문신 등 지역 예술가 등이 활동했던 구도심의 역사성을 살려 골목길을 창동예술촌·창작공예촌으로 활성화할 방침이다. 마산항 임항선 폐선로를 활용해 공원을 조성하고 마산항 친수공간도 조성한다.


    영주는 1973년 영주역 이전으로 빈 점포가 늘고 인구가 줄어든 원도심(영주 1·2동 일원)에 관광 수요를 유치하는 사업이 추진된다.


    일제 강점기와 1950년대 근대 한옥건물이 남아있는 후생시장과 중앙시장의 경관 개선과 증·개축 사업이 이뤄진다. 생활공예를 중심으로 하는 마을기업과 협동조합 육성 사업도 병행된다.


    정병윤 국토도시실장은 "주민과 함께하는 도시재생사업은 관이 주도하는 기존의 지역개발사업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현 정부의 역점 지역개발사업"이라며 "천안·청주·군산 등 나머지 9개 선도지역도 차례로 활성화 계획을 승인해 성과를 도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