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스마트공장 전진대회' 개최 사업 총괄기구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 발족
  •  

  • ▲ '스마트공장 전진대회' 주요참석자들이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 현판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조부관 두산인프라코어 상무, 이춘선 한국생산성본부 상무, 정진행 현대자동차 사장, 박청원 전자부품연구원장, 박진우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장, 강성천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김종호 삼성전자 사장,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홍순국 LG전자 생산기술원장, 박종갑 대한상의 산업혁신운동 중앙추진본부장) ⓒ대한상의
    ▲ '스마트공장 전진대회' 주요참석자들이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 현판식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왼쪽부터 조부관 두산인프라코어 상무, 이춘선 한국생산성본부 상무, 정진행 현대자동차 사장, 박청원 전자부품연구원장, 박진우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장, 강성천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 김종호 삼성전자 사장, 양봉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장, 홍순국 LG전자 생산기술원장, 박종갑 대한상의 산업혁신운동 중앙추진본부장) ⓒ대한상의

    정부가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자동차 등 9개 대기업과 함께 연말까지 협력사 350여곳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1일 서울 세종로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스마트공장 전진대회를 개최, 8대 업종 9대 대기업이 협력사 등 350개사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기 위한 사업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스마트공장은 국정과제인 '제조업 혁신 3.0 전략'의 핵심정책으로, 기존 생산라인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생산성 향상, 품질 개선, 원가 절감 등을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이다.

     

    3월19일 대통령 주재 '제7차 무역투자진흥회의'에서 윤상직 산업부장관은 2020년까지 민관합동 1조원을 투자해 중소·중견기업 1만개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겠다고 보고한 바 있다.

     

    정부는 올해 700개 보급 목표 중 약 350개를 대기업 중심의 업종별 보급으로 달성해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과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날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차, 두산, 효성, 제일모직, SKT, 포스코, LS산전, 제약협회 등은 2.3차 협력사 등 350개 중소기업에 업종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공장 모델 구축을 지원하는 내용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삼성전자는 경북창조경제혁신센터와 협업을 통해 3년간 400개 협력사에 스마트공장을 보급키로 했다.

     

    스마트공장 구현을 위해 ICT기반 자동화설비와 금형.표면처리 기술, 제조현장 통합관리시스템, 공정시뮬레이션 등을 지원하게 된다. 나머지 대기업도 스마트공장 구축 계획을 수립, 협력사를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날 행사에서는 민관합동 스마트공장 추진단도 출범했다. 추진단은 앞으로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사업을 총괄하고, 미래형 스마트공장 추진에 대응하기 위한 관련 기술개발, 표준·인증 등도 담당하게 된다.

     

    추진단장으로는 박진우 서울대 산업공학과 교수를 선임, 대한상의와 생산기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등 관련 기관에서 인력을 파견할 계획이다.

     

     이관섭 산업부 1차관은 "저성장, 엔저 등 어려운 경제여건이지만 우리 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으로 경쟁력을 회복할 수 있다"며 "대기업과 협력하면 중소기업도 단기간 내 손쉽게 보급사업의 성과를 볼 수 있어 정부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2020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1조원을 투자해 중소·중견기업 1만개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277개사에 스마트공장 보급 시범사업을 추진, 불량률 감소(32.9%), 원가 절감(23.1%), 납기 단축(27.0%), 매출 증가(16.8%) 등 효과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