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윤석 의원 "정부·제조사 사후관리 철저 요구"
  • 최근 3년 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 등 표시위반  적발 건수가 국산과 수입차 업체 등 300건이 넘는 것으로 나타나 관련 허위표시가 심각한 것으로 지적됐다.   

     

    9일 장윤석 새누리당 의원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확보한 ‘자동차 에너지소비효율 및 등급 표시 점검결과’ 자료에 따르면, 25개 자동차 제조 및 수입사(국내 자동차 제조사 7곳, 수입사 18곳)는 최근 3년간 광고매체, 전시차량, 카다로그 등을 통해 연비, 등급 등 에너지 소비효율을 허위로 표시하다 325건이나 적발됐다.

    업체별로는 벤츠(수입사)의 허위표시가 가장 많아 불명예를 안게 되었는데 최근 3년간 57건이나 적발되었고, 다음으로 토요다 30건, BMW(수입사)가 29건 순으로 조사됐다.

    산업부(한국에너지공단)는'자동차의 에너지소비효율 및 등급표시에 관한 규정 제 12조(표시 사후관리 등). 산업부 고시'에 근거해 매년 1회 국내 자동차 제작사 및 수입사 25곳을 대상으로 광고매체, 전시장, 카다로그 등에 표기된 연비, 등급, CO2 배출량 표시 이행상태를 점검하고 있다.

    지난해 산업부는 25개 업체의 전시차량 라벨, 카다로그, 제작사·수입사 홈페이지 및 신문·잡지를 점검함. 그 결과 총 9개 업체, 24건 위반 사항을 적발하였으며, 수입사가 18건(75%), 국내 제작사가 6건(25%)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간 연비를 허위로 표시하여 산업부로부터 과태료를 부과 받은 업체를 살펴보면 대부분 수입차 회사들인데, 이 또한 벤츠가 2,100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2위는 BMW로 벤츠보다 300만원이 적은 1,800만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장윤석 의원은 "자동차 연비의 허위표기는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로 반드시 근절되어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관계 당국은 사후관리를 철저히 실시하고 그 결과를 국민들에게 적극 공개하여 소비자 권익을 보호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