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조사…中·아세안 등 신흥시장 조기후퇴 비율 높아"지속 생존 위한 판로개척 절실"
  •  

    수출시장에 처음으로 진입한 중소기업 3곳 중 1곳은 경쟁력을 키우지 못하고 결국 그 규모를 줄이거나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신규 수출 中企 수출성장·중단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초 수출시장에 진입한 중소기업 중 지속적으로 수출이 늘어난 '성장기업' 비중은 62.3%로 나타났다. 나머지 34.7%는 수출을 줄이거나 중단한 '후퇴기업'이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18일부터 지난 4일까지 수출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후퇴기업 중에서는 수출시장에 처음으로 진입한지 1년 이내에 수출이 감소하거나 중단한 경우가 35.6%로 가장 많았다.

     

    그 원인으로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감소'가 51.9%로 가장 많았고 '중국 등 신흥국의 저가공세로 인한 가격경쟁력 상실'(35.6%)이 그 뒤를 이었다.

     

    수출 국가별로는 중국(39.5%)이나 아세안(36.4%) 등 신흥시장에서 '최초 수출 이후 1년 이내에 후퇴기업이 됐다'는 비율이 높게 조사됐다. 반면, 일본(54.5%)과 북미(38.9%) 등 선진시장에서는 '수출 5년 이후 후퇴기업이 됐다'는 업체 비율이 높아 신흥시장에서의 수출생존력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수출이 늘어난 성장기업의 경우에는 수출증가가 '매출액·수익성 확대'(72.3%)와 '신시장·거래처 다변화 통한 경영안정'(41.7%) 등에 큰 도움이 됐다고 응답했다.

     

    수출 증가에 가장 도움이 된 지원정책으로는 '마케팅·판로'(42.8%)와 '기술·인증'(21.9%) 등을 꼽았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기존의 수출지원정책이 2.8%에 불과한 수출중소기업 비중을 끌어올리는데 집중돼 왔다"며 "하지만 그에 못지 않게 수출시장에 진입한 초보기업들이 초기 데스밸리(죽음의 계곡)를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정책의 양과 질,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중소기업들은 중국, 아세안 등 신흥시장에 대한 수출생존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신흥국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열위에 놓인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정책과 지속적인 생존력 강화를 위한 판로개척 지원이 절실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