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경제·산업전망 세미나' 개최"국내 주력산업 경기회복, 여전히 불투명"
  •  

    내년 국내 주력산업의 경기회복은 기회·위험 요인의 혼재 속에 불투명할 것으로 전망됐다. 철강 산업은 부진세가 지속되고, 전자·자동차·조선·건설 산업은 기대요인과 위협요인이 상존하면서 뚜렷한 회복세를 기대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됐다. 석유화학 산업만이 공급과잉 해소 등으로 업황 호조가 전망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2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2016년 경제·산업전망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김지산 키움증권 연구위원과 고태봉 하이투자증권 팀장, 전재천 대신증권 선임연구원, 변종만 NH투자증권 연구위원, 이응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 김형근 메리츠종금증권 연구위원 등은 내년 산업별 전망을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철강 산업은 대형-중견기업 간 M&A(인수·합병)와 사업부문 조정, 중국발 저가 경쟁 심화 되며, 각국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부진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됐다.

     

    전자 산업은 북미, 서유럽 등 선진시장 수요가 양호할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신흥시장 침체오 휴대전화·PC 등 주요 제품의 범용화에 따른 성장 모멘텀 부족이 위기 요인으로 지적됐다.

     

    자동차 산업은 중국, 인도 등 이머징 시장의 수요 회복, 신차 공급 확대에 따라 업황이 회복될 것으로 예상됐지만, 폭스바겐 사태에 따른 시장 불확실성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점쳐졌다.
     
    조선 산업은 선박 신규수주 둔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해양플랜트 신규수주의 일부 회복이 긍정적 요인으로 전망됐다.

     

    건설 산업은 상반기 내 중동지역의 저가수주 손실반영이 마무리됨에 따라 하반기부터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올해 대비 국내 주택 신규수주 20~30% 감소하고 유가하락에 따른 중동지역의 신규수주 급감이 위기 요인으로 지적됐다.

     

    석유화학 산업은 내년 유가가 소폭 상승함에도 자국 납사크랙커(NCC, 원유에서 나오는 납사를 원재료로 에틸렌 등을 생산하는 업체)의 상대적인 원가 경쟁력이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합성고무의 과잉 공급 해소가 긍정적 요인으로 평가됐다. 내년 평균 유가(WTI)는 올해(50달러) 보다 3.2달러 오른 배럴당 53.2달러로 전망됐다.

  • ▲ 2016년 주력산업 경기전망 및 주요 요인. ⓒ전경련
    ▲ 2016년 주력산업 경기전망 및 주요 요인. ⓒ전경련

     

    박찬호 전경련 전무는 "올해 우리경제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영향과 수출 부진으로 어려웠다"며 "미국 금리인상·중국 경기 둔화의 'G2 리스크'로 내년도 대외환경 또한 쉽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3분기 성장률이 1.2%를 기록하는 등 최근 내수를 중심으로 회복의 기미를 보이고 있다"며 "회복 모멘텀을 이어 나가기 위해 구조개혁 등 체질개선 노력과 적극적인 사업계획 수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인수 현대경제연구원 원장은 "내년도 세계경제가 3.4~3.6% 성장할 것"며 "미국 기준금리 인상과 중국 경기 둔화·금융불안이 주요 이슈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미국 금리인상이 진행되더라도 국내 파급영향은 제한적이지만, 뉴노멀 시대에 진입한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가공무역 축소로 우리나라의 대중 수출 구조가 취약해질 것"이라며 "기업의 핵심역량 강화, 신시장·신사업 확보가 중요하며, 세계경기 회복세 지연과 자본시장 불안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김준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원장은 국내경제와 관련해 조선업 등 기업의 수익성 악화를 우려하며 "다수 업종에서 중국의 국제경쟁력이 강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원장은 또 "급격한 인구 고령화와 노동시장 경직성, 진입규제와 낮은 청년 고용률 등으로 저성장 추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성장동력 복원을 위한 정책과제로 규제개혁, 서비스 시장 개방, 노동시장 구조 개선, 부실기업 구조조정 등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