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남경필 도지사 ⓒ 연합뉴스
    ▲ 남경필 도지사 ⓒ 연합뉴스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주장했던 수도 이전을 통한 '국토균형개발'이 실제 경기도 개발 정책과 상충된다는 지적이 나왔다.

    1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경기도 국정감사에서 최인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남 지사는 국가균형발전을 주장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지방대학을 도내로 이전시키고 공장을 유치하는 등 수도권 개발에 초점을 맞춰왔다"고 지적했다.

    최 의원은 "남 지사가 주장하는 수도권 정비법의 개정이 결국엔 지방의 대학과 공장을 흡수해 수도권 과밀화를 부추길 것"이라며 "지역균형발전을 원한다면 수도권 규제완화를 골자로 한 수도권 정비법 개정에 반대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남경필 지사는 수도권 개발 집중을 우려해 세종시로 수도 이전을 제안한 바 있다. 반면 도청 산하 경기연구원은 도내 자연보전권역과 군사시설 접경지역에 공장을 신설할 수 있도록 '수도권 정비계획 규제 제외'를 요청했다.

    이와 함께 총 7개의 지방대학이 경기도로 이전 계획을 세운 것으로 알려져 남 지사는 국토균형개발보다 수도권 개발 '규제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이에 대선후보로서는 국토 균형을, 경기도지사로서는 개발을 위한 규제철폐를 논하는 '이중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 아니냐는 문제도 제기됐다.

    남경필 도지사는 "수도권 정비법 개정의 경우에는 도내 낙후된 지역만 제외해 달라는 주장이다. 경기 북부 지역은 낙후되었음에도 경기도에 위치한다는 이유로 역차별을 받아왔다"고 답했다.

    이어 "수도권 정비법 개정 전체를 찬성하는 것이 아닌 낙후된 지역은 제외해 달라는 의견이며 규제 '철폐'라는 용어는 단 한 번도 언급한 적 없다. 규제 완화나 철폐보다는 '합리화'라는 용어가 적절할 것"이라며 "수도이전도 수도권을 죽이자는 뜻이 아닌 경제 중심지와 정치행정 중심지를 분리해 균형적인 발전을 이루자는 의견"이라고 덧붙였다.

    경기북부 지역의 발전을 위해 경기 남·북부를 분도(分道)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분도 의견에 남경필 도지사는 "실질적으로 분도를 진행했을 때 북부 도민에게 이익이 되는지 아닌지를 판단해 봤다. 분도 시 지금보다 북부도민의 환경이 열악해 질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에 분도에 반대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북부지역에 남부지역 세금을 걷어 투자하고 있다. 도 전체 예산의 40% 정도를 북부에 투입 중이며 남·북부의 균형발전은 중앙정부에서 지방으로 권한을 넘겨주는 노력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기 고양시 'K-컬쳐밸리' 조성 과정에서 제기된 'CJ E&M 특혜의혹'에 대한 질문도 나왔다.

    CJ E&M은 경기도로부터 공시지가 830억원짜리 땅을 100분의 1수준의 헐값에 대부받은 것으로 나타나 논란이 됐다. 현재 도의회는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조사를 진행 중이다.

    특혜 의혹에 대해 남 도지사는 선을 그었다. 그는 "특혜가 없었다는 것이 경기도 집행부의 명확한 인식"이라며 "도의회에서 조사를 하겠다면 모든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답했다.

    지난 5일 안전행정위원회 국감에 이어 남경필 도지사의 대선 출마여부에 대한 질문이 재차 쏟아졌다.

    남경필 도지사는 "현재는 도정에 전념할 계획이다. 대선 도전여부는 제 자신을 돌아보고 국민여론을 살핀 후 내년 초쯤 결정할 것"이라고 같은 답을 내놨다.

    대선 출마 후에도 연정(聯政)을 지속할 것이냐는 질문에 남 지사는 "계속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