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광진·중랑·성북·금천·중구 등 6개구 '전무'강남 1258가구, 서초 239가구 서울 자치구 중 각각 1, 3위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서울 소재 판잣집·비닐하우스집 10가구 가운데 7가구가 최고급 아파트가 즐비한 서울 강남·서초구 등에 집중된 것으로 드러났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서울 시내 소재 '주택 이외 거처' 중 판잣집·비닐하우스집은 총 2279가구였다. 이 가운데 강남구에 50%가 넘는 1258가구(55.2%)가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악구에 있는 판잣집·비닐하우스집은 349가구(15.31%)로 두 번째로 많았고, 서초구는 239가구(10.49%)로 그 뒤를 이었다.

    판잣집·비닐하우스집 거주가구는 강동구(4.34%), 동작구(3.25%) 등에도 상당수 있었고, 종로·광진·중랑·성북·금천·중구 등 6개구에는 단 한 가구도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 시내 판잣집·비닐하우스집 10가구 가운데 7가구(65.7%)가 강남·서초구에 몰려있는 것이다.

    강남·서초구에서 판잣집·비닐하우스보다 더 열악한 '기타' 거처에 살고 있다고 응답한 가구 수는 각각 3526가구(4.89%), 2236가구(3.06%)로 서울지역 전체 '기타' 거처 가구의 8%에 육박했다.

    '기타'는 주택 이외의 거처 중에서 오피스텔, 숙박업소 객실, 기숙사나 특수사회시설, 판잣집 등을 제외한 곳이다. 공사장 임시막사를 비롯해 종교시설, 상가, 찜질방, 노숙 등이 이에 해당한다.

    반면 강남·서초구는 가구당 주거면적 등 평균 주거여건이 최상위권에 속해 극심한 대조를 이뤘다.

    지난해 가구당 주거면적을 살펴보면 서초구 83.3㎡, 강남구 75.2㎡로 서울 자치구 가운데 나란히 1, 2위를 기록했다.

    서울 시내 평균이 62㎡라는 점을 고려하면 강남·서초구 주민들은 평균적인 서울시민보다 4∼6평 더 큰 집에 살고 있는 것이다.

    서초·강남구의 1인당 주거면적은 각각 31.3㎡, 30㎡로 서울 자치구 중 각각 1, 3위를 기록했다. 다른 자치구와 적잖은 차이를 보였다.

    강남·서초구는 최고급 아파트가 몰려있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부자 동네'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 지역에 극빈층도 가장 많이 몰려있다는 것이다.

    강남·서초구는 최근 몇 달 새 일부 아파트와 분양권 가격이 수억 원씩 올라 투기과열 논란이 일고 있다.

    강남구에는 대표적인 판자촌인 구룡마을을 포함해 달터마을, 산청마을 등 판자촌이 다수 형성된 상태다.

    염곡마을, 샛마을 일부 지역에는 불과 몇 년까지도 200여개 비닐하우스촌이 있다. 서초구에도 성뒤마을 등 일부 판자촌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