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철 효력 있는 소독제 많지 않아… 정부 선정해 알려줘야
  • ▲ AI 발생 현황.ⓒ연합뉴스
    ▲ AI 발생 현황.ⓒ연합뉴스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도살 처분된 가금류가 2021만 마리를 넘어섰다. 역학조사위원회는 방역망의 허점과 방역 현장의 안이한 인식 등 총체적인 부실이 막대한 피해를 불렀다고 진단했다.

    조사위는 방역 현장의 최일선인 도살 처분 현장에서 긴급행동지침(SOP)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가장 기본적인 방역조처인 소독제와 관련해선 지방자치단체에서 전문성이 없는 만큼 중앙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침을 정해줘야 한다고 밝혔다.

    농림축산식품부 AI 역학조사위원회는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백브리핑을 하고 중간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역학조사위원회 위원장인 김재홍 서울대 교수는 "올해 막대한 AI 피해는 방역망 곳곳에 문제가 있고 방역 현장에서도 방역 인식이 해이한 것으로 지적되는 등 총체적인 문제가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방역 현장과 관련해 SOP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는다고 우려했다.

    김 교수는 "도살 처분 현장은 위험성이 가장 높은 만큼 작업 인력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며 "어떤 현장에서는 2층에서 아래층으로 도살 처분한 닭을 집어던져 바이러스가 날리는 등 안이하게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는 "방역복을 입어도 작업자는 AI 바이러스에 노출됐다고 봐야 한다"며 "하지만 현장으로 배달음식을 주문하고 오토바이 배달부는 소독도 없이 농장에 들어와 작업 인부들과 접촉하는 등 방역 인식이 안이하다"고 덧붙였다.

    지자체에서 방역관이 농장 입구를 지켜 외부인 출입을 막거나 들락거리는 사람이나 장비에 대해 소독을 하도록 관리해야 하지만, 현장에서 잘 지켜지지 않는다는 설명이다.

    김 교수는 소독제 사용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검역본부에서 일제 검사를 벌여 소독 효과가 없는 부적합 소독제를 취소했는데 아직도 지자체 방역 현장에서 유통되고 있다"고 소개했다.

    김 교수는 "온도가 낮아지는 겨울철에는 효력을 발휘하는 소독제가 몇 개 없어 골라 써야 한다"며 "하지만 지자체의 경우 전문성이 부족한 데다 입찰을 통해 싼 소독제를 쓰거나 보급하고 있어서 소독이 제대로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앙정부에서 확실한 효력의 소독제를 선정해 지자체에서 쓸 수 있게 해야 하고, 유럽은 그렇게 하고 있다"며 "특정 업체와의 유착 오해를 받기 싫어 안 하고 있는데 개선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