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 역사교과서 의견수렴 23일 마감, 교육부 기존 계획 진행 등 판단
  • ▲ 지난달 28일 공개된 중·고교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에 대한 의견 접수를 받고 있는 '올바른 역사교과서 홈페이지' 캡처 화면.
    ▲ 지난달 28일 공개된 중·고교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에 대한 의견 접수를 받고 있는 '올바른 역사교과서 홈페이지' 캡처 화면.


    중·고교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이 지난달 28일 공개된 후 진행된 의견수렴이 23일 마감된다.

    교육부는 별도 홈페이지를 마련해 검토본에 대한 의견을 받아 국사편찬위원회에 전달했고, 이를 통해 역사교과서 완성도를 높힌다는 계획이었다.

    지난 21일까지 역사교과서에 대한 이미지, 오탈자, 내용 등 2511건의 의견이 접수됐고 마감일 당일 오후 6시까지 예정된 종료시간은 이날 자정까지 연장했다.

    하루 100건 내외 의견이 제출된 가운데 역사교과서 검토본은 그동안 14만건가량 열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교과서 의견수렴이 완료되면 분석을 통해 반영 여부를 결정, 지난 5일 편찬위는 닷새동안 수렴한 의견 984건 중 오류 등이 확인된 13건에 대해선 수정 작업을 진행한 바 있다.

    앞서 교육부는 역사교과서 최종본은 내달께 완성한 뒤 새학기가 시작되는 내년 3월 학교 현장에 배포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국정교과서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높다는 점에서 계획 철회 또는 국·검정 교과서 혼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오르내렸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지난 13일 열린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폐지 여부는) 자세히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말했고 혼용 여부에 대해서는 "혼자 결정할 내용은 아니다"며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당시 교문위 회의에서 야당은 국정교과서 반대 입장을 피력한 반면, 여당은 완성도를 높이는 데 집중해달라고 요청하는 등 여야 간 대립 양상을 보였다.

    역사교과서와 관련해 교육부는 실제 발행 여부 결정을 당장 진행하기보다 수렴된 의견들에 대한 분석 작업이 우선이라는 입장이다.

    교육부 관계자는 "이번 주말 또는 다음주 월요일까지는 의견수렴 통계가 나올거 같다. 의견수렴에 대한 결과부터 나와야 하고, 이후에 (혼용 여부 등) 로드맵이 나올 거 같다. 기존 계획으로 갈지, 변경할지 여부에 대한 부분은 이후 과정을 지켜봐야할 거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