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송료=가격, 고객에게 혜택 주기 위한 방법" vs "투자받기 위한 전략일 뿐, 장기적인 서비스 불가능할 것"
-
위메프가 1만원 미만의 낮은 단가의 상품까지 무료 배송을 확대하면서 경쟁사들과 판이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위메프의 파격적인 행보가 향후 실적 개선에 도움을 주는 약이 될 것인지 아니면 적자 폭만 키우는 독이 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업계의 의견이 분분하다.
10일 위메프에 따르면 직매입배송 서비스인 '원더배송' 내 9000여개의 상품 중 구입 금액 등 조건 없이 상품을 단 1개라도 구입하면 무료 배송해주는 비율은 85%에 달한다. 9700원 이상 무료배송 조건이 달린 상품은 14%, 나머지 1%는 2만원 이상 무료배송이다.
사실상 위메프에서 직매입 제품을 구매하면 배송료가 없는 셈이다.
반면 지난해 e커머스(전자상거래) 기업들은 무료배송 기준을 잇따라 인상했다.
쿠팡의 경우 지난해 10월 로켓배송 무료배송 기준을 기존 9800원이상에서 1만9800원으로 두 배 이상 높였고 이베이코리아 역시 G마켓·옥션의 묶음 배송 서비스 '스마트배송'의 과금 정책을 변경해 기존 총 결제금액 3만원 미만 고객에게 과금한 배송비 2500원을 3000원으로 인상했다.
지난해 7월에는 이마트몰도 무료배송 기준액을 3만원(익일 배송 기준)에서 4만원으로 인상했다.
무조건적인 무료배송은 회사의 적자 폭을 키우고 배송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 이유였다.
이처럼 위메프는 경쟁사들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보이면서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위메프는 경쟁사들이 마케팅 전략으로 도입해온 무료배송 혜택을 위메프는 사업의 본질적인 혜택으로 바라보고 물류시스템 혁신과 CJ대한통운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속 가능한 혜택으로 정착시킨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위메프가 적자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무료배송 강화는 무리수를 던진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지난 2014년 기준 위메프의 영업손실은 294억원, 2015년에는 1445억원으로 직전년도 대비 당기순손실이 391% 상승했다. 지난해 실적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적자를 줄이지 못했을 것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위메프는 신규투자, 매출 상승 요인 등 믿을만한 구석이 뚜렷하지 않은데 이처럼 무료배송만 강화하다 보면 손실만 더 커질 것은 자명하다"며 "위메프 물류센터가 경쟁사들보다 특출나게 많지 않기 때문에 1만원 미만 상품까지 무료 배송을 하면 적자를 피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위메프가 장기적으로 해당 서비스를 끌어가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무료 배송 서비스 강화는 일시적으로 방문자 수 증가와 매출 증가 등 가시적인 효과를 보일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무료 배송 서비스 조건 가격이 인상되거나 아예 사장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다.
동종 업계 관계자는 "위메프의 무료 배송 강화는 투자를 받기 위한 전략일 것으로 생각한다"라며 "장기적으로 이런 서비스를 끌고 가는 것은 위메프의 재정 상태상 불가능해 보인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경쟁사들의 반론에 대해 위메프는 고객을 위한 서비스의 일환이라며 논란을 일축했다.
위메프 관계자는 "온라인몰에서 배송료 2000~3000원을 더한 금액이 사실상 상품 가격이기 때문에 고객에게 배송료 부담을 덜어주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라며 "위메프는 유통의 본질인 가격 측면에서 고객에게 실질적 혜택을 주기 위해 무료 배송을 강화한 것 뿐"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