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가격 고공행진·어족 자원 부족 등 여파AI 확산 여파에 따른 달걀 파동은 아직 반영 안 돼
  • ▲ 자료사진. ⓒ연합뉴스
    ▲ 자료사진. ⓒ연합뉴스


    최근 한국의 식료품 물가 상승 속도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내에서도 상위권에 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한국의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는 1년전에 비해 4.5% 상승하면서 34개 회원국 가운데 멕시코(4.9%), 일본(4.7%) 다음으로 상승률이 높았다.

    지난해 10월에는 5.0% 상승하면서 터키에 이어 상승률 2위였고, 앞서 9월에는 5.6%로 1위에 랭크된 바 있다. 지난해 12월 기록이 아직 다 나오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근 3개월 연속 한국의 식료품·비주류 물가 상승률이 OECD '톱3'에 든 셈이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는 △육류 △어류 △과일 △채소 △곡물 △과자류나 △조미료 △생수 △청량음료 등 먹을거리의 가격변동을 나타내는 지표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를 구성하는 세부 품목은 나라별로 다르지만, 해당 국가에서 많이 소비되는 품목 위주로 구성돼 있다.

    지난해 월별 한국의 식료품·비주류 음료의 물가 상승률은 1월 1.6%로 시작해 2~4월 3%대로 솟았다가 5월 0.8%로 내려갔다. 6월(-0.3%)과 7월(-0.1%)에는 마이너스를 기록한 뒤 8월에는 0.5%로 소폭 반등하더니 9월부터 급격한 오름세를 탔다.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이 여름 이후 가팔라진 것은 지난해 폭염으로 배추, 무 등 농산물가격이 고공비행했기 때문이다. 수산물 중에서도 어족 자원 부족, 6월 한·일 어업협정 결렬로 공급량이 줄어든 여파가 여름 이후 본격적으로 게, 갈치 가격에 반영됐다.

    소 사육두수가 줄어 쇠고기 공급량이 감소했고, 비싸진 쇠고기 대신 돼지고기를 사 먹는 수요가 늘면서 돼지고기 가격이 뛴 영향도 있다.

    아직 달걀 대란 여파는 OECD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다.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산이 달걀 공급량에 영향을 미친 지난해 12월에도 한국이 식료품·비주류 음료 물가 상승률 상위권에 들 공산이 크다.

    필수 지출인 식료품 물가 상승률이 확대되면 체감 물가가 급격히 뛰어 가계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특히 식료품 지출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의 경우 소비를 큰 폭으로 줄이는 등 더 많은 타격을 받을 수 있다.

    백다미 현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농산물 비축사업을 확대하거나 식료품 수입처를 미리 확보하고 다변화해 계절적인 요인이나 다른 충격이 있을 때 공급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