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 김미란 교수·김석일 교수 건강보험 100만명 표본코호트 활용연구 결과
  • 난임의 원인 중 하나인 자궁근종의 국내 유병률이 12년간 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임기에 해당하는 20대 후반과 30대 초반 연령대 발생률 증가가 가장 높았다.


    9일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김미란·조현희·정윤지·이민경(서울성모병원), 예방의학교실 김석일·채경희·김미라 교수팀은 2002년부터 2013년까지 전체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역학) 100만명 중 15~55세 가임기 여성을 선별해 이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5년 단위 연령군으로 구성된 이 자료를 이용해 유병률과 누적발생률, 연간발생률 및 치료 경향을 분석한 결과  전체 가임기 여성의 자궁근종 유병률은 2002년부터 2013년 까지 0.62%에서 2.48%로 4배 늘었다.


    이 중 45~49세 연령군이 지속적으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여 2013년 유병률이 5.07%에 달했다. 또한 연간발생률도 해당 연령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2013년 연간발생률은 2.88%였다.


    전체 가임기 여성에서 11년 누적발생률은 12.5%로 나타났는데 이는 가임기 여성을 11년간 추적관찰 하였을 때 12.5%가 자궁근종을 진단받게 된다는 의미이다.


    특히 35~39세, 40~44세 연령군의 11년 누적발생률은 각 22.3% 21.8%로 높게 나타나 30대 후반부터는 자궁근종의 검진에 주의를 요함을 시사했다.


    2003년과 2013년 연간발생률 증가추이를 비교한 결과, 26~30세 군의 연간발생률이 0.21%에서 0.73%로 3.48배 증가해 발생률 증가폭이 가장 높았다. 31~35세에서 2.68배로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나 젊은 가임기 여성에서 자궁근종의 발생이 급격히 늘고 있음을 확인했다.

  • ▲ 김미란 교수 ⓒ서울성모병원
    ▲ 김미란 교수 ⓒ서울성모병원

    연구팀은 늦어진 결혼연령 및 초산 연령의 영향으로 젊은 여성에서 자궁근종의 발생이 늘어났을 것으로 분석했다.
     
    자궁근종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횟수도 2003년 561명에서 2013년 1039명으로 약 두 배 증가했다. 수술 종류별로는 근종만 절제하고 자궁은 보존하는 수술인 자궁근종 절제술의 비중이 전 자궁 절제술에 비해 크게 증가하여 2002년 22%이었던 반면 2013년에는 49%로 크게 높아졌다. (표3)
     
    김미란 교수는 “이번연구로 우리나라 여성의 자궁근종 역학자료와 치료 경향을 분석하여 검진 및 치료 표준화 지침의 정립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면서, “미혼여성이라도 정기 검진을 받아 자궁근종의 진단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하고 진단받은 환자는 본인에게 맞는 최적의 치료법으로 적절한 시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이번 연구가 보여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