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공정위 제공
    ▲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 ⓒ공정위 제공


    일감몰아주기 및 불공정 하도급에 대한 김상조 위원장의 강력한 경고속에 재계는 공정위 눈치만 살피고 있다. 혹여 1차 타깃이라도 될까 심기 헤아리기에 애면글면이다.


    공정위는 기업과의 소통을 통해 자발적 변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자평을 내놓고 있지만 말 못할 기업의 속내는 새카맣게 타들어간 지 한참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해 두차례 재벌 총수 간담회를 통해 자발적인 소유지배구조 개선을 주문했다.
    중간 중간 데드라인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경고도 잊지 않았다.

    등 떼밀린 5대그룹 중 현대차, SK, LG, 롯데 4개 집단이 지난달 구조개편안을 발표했고 6대 이하 그룹에서는 현대중공업, CJ, LS, 대림, 효성, 태광 등이 동참했다.

    자발적인 모습을 평가한다는 공정위의 화답도 돌아왔다. 하지만 아직도 진행형이다.

    지난 6일 열린 대·중소기업 간 상생방안 발표회에서는 대·중견기업 11개사가 중소 협력사와의 상생협력 방안을 제시하며 공정위의 입맛을 맞췄다.

    강의를 좋아하는 김 위원장은 이날도 150개사 임직원 200여명을 대상으로 훈계성 특강을 실시했다.


    김 위원장은 “도요타(Toyota)는 세계 경제 불황으로 자동차 수요가 줄자 ‘경영 합리화’란 이름으로 부품 단가를 더욱 낮추는 선택을 했지만, 일부 부품의 품질저하로 2010년 대량 리콜사태를 겪는 등 큰 위기에 빠졌다”고 언급했다.

    반면 핀란드의 코네 엘리베이터를 예로 들면서는 “250여개 부품 협력업체와 20~30년 이상의 장기적인 거래관계를 유지한 결과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대중소기업의 상생을 통해 동반성장을 꾀하자는 원칙적인 얘기일 수 있지만 예의 '옆짚아들' 비교론에 참석자들의 표정은 그리 밝지 않았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한 기업 관계자는 “무엇보다 공정위에 찍히면 안된다는 기류가 강하다. 김 위원장의 외국사례 비교가 거북했지만 아무도 입밖에 낼 수는 없었다"고 허탈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