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 금융지원 및 금융지주 위상 갖춰야할 임무 막중현 실적 상승세 '부담' 작용…비은행·해외시장 과제 꼽혀
  • 7년여 만에 금융권에 복귀한 신임 김광수 농협금융지주 회장이 다음 주부터 본격적인 업무에 돌입한다.

    김용환 전 회장이 지난 3년간 과감한 결단력으로 적자에서 흑자로 돌아서며 기초체력을 탄탄히 다져놓은 만큼 그의 어깨는 무겁다.

    ◆지주 출범 취지 맞는 농업인 실익 지원 우선돼야

  • ▲ 신임 김광수 농협금융 회장. ⓒ농협금융지주
    ▲ 신임 김광수 농협금융 회장. ⓒ농협금융지주
    앞서 농협금융지주는 전날 주주총회를 열고 단독 후보로 추천된 김광수 금융정보분석원(FIU) 원장을 신임 회장으로 최종 선임했다.

농협금융은 지난 2012년 농협의 신용사업과 경제사업을 분리하는 사업구조개편을 통해 출범했다. 농협중앙회가 100% 지분을 보유한 협동조합 금융기관이다.

농협금융의 출범 성격은 농업인의 농업금융 및 금융편익 업무, 농업·농촌 지원사업 재원 마련, 농업인 실익 지원 사업의 수익센터 역할을 수행하는 면이 크다.

이에 신임 김광수 회장은 금융시장 경쟁이 심화되는 만큼 타 금융지주에 걸맞은 수익구조를 확보하는 한편 근본적인 출범 취지에 맞는 농업인 금융지원이 축소되지 않도록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농업지원사업비에 대한 고민도 필요해 보인다. 농협중앙회에 지원하는 농업지원사업비가 경제지주보다 금융지주가 압도적으로 많은데, 중앙회의 전체 지출이 수입보다 늘고 있기 때문이다. 

농협중앙회의 농업지원사업비 수입 및 지출 현황을 살펴보면 지난 2016년까지는 수입이 많았지만, 지난해에는 수입(5015억원)보다 지출(5442억원)이 더 많았다.

농협금융은 농협의 고유 목적사업인 농업인 지원을 위해 매 분기 중앙회에 분담금을 지급하고 있다.

농협금융은 지난해 농업지원사업비로 총 3835억원을, 올해 1분기에는 677억원을 지원했다. 경제지주의 경우 지난해 분담금이 151억원에 불과했다.

◆호실적 부담 작용…비은행 강화·글로벌시장 진출 힘줘야

실적 면에서도 김광수 회장에게 부담이다. 

농협금융은 지난해 지주 출범 이후 최대 실적을 거두고 올해 1분기에도 쾌조의 스타트를 끊었다. 다가올 2분기부터는 그 이상의 실적을 보여줘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지난해 연간 순이익은 8598억원으로, 농업지원사업비를 포함할 경우 실적은 1조원이 넘는다. 올해 1분기에도 전년 동기 대비 76% 대폭 오른 3901억원을 달성했다. 농업지원사업비를 포함할 경우 4578억원으로 늘어난다.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 하지만 5대 금융지주 실적과 비교해보면 암울하다. 농협금융은 사업목적 자체가 타 금융지주와 다른 만큼 직접적인 수익 비교는 다소 어려운 점이 있지만, 순이익을 더 끌어올려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다.

    농협금융은 오는 2020년까지 순이익을 1조6500억원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를 세운 만큼 김광수 회장의 과감한 행동력이 필요해 보인다.

    이렇기에 업계에서는 농협금융이 한 발 더 도약하기 위해 농협은행의 지주 기여도 쏠림을 해소하고, 비은행 부문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최근 주요 금융지주들이 증권 및 보험사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주력하는 만큼 농협금융도 경쟁력 확보를 위해 인수합병(M&A)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 

    특히 NH투자증권의 초대형 투자은행(IB)을 위한 단기금융업 인가는 최우선 과제 중 하나다. 현재 금융당국의 심사가 길어지는 탓에 장기표류 상태다.

    글로벌사업 강화도 김광수 회장의 주요 과제로 꼽힌다. 

    농협금융은 출범 특수성 탓에 주요 금융지주 중 가장 늦게 해외시장에 뛰어들었고, 이 사이 주요 금융지주사들은 글로벌시장 수익을 바짝 끌어올렸다.

    이에 농협금융은 지난해부터 글로벌 사업을 주요 과제로 선정, 올해를 동남아시아 중심으로 한 해외 진출의 원년으로 삼는 등 고삐를 죄고 있다. 

    현재 중국 공소그룹과의 합작사 설립과 인도네시아 중소형 은행 인수, 여신 전문사 지분 투자 등을 추진 중이다. 또 캄보디아의 소액대출회사 인수와 인도 사무소의 지점 전환도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