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로봇, 공항·호텔·쇼핑몰 등에서 올해말 상용화현대重지주, 서비스로봇 양산 위해 대구 공장에 별도 라인 갖춰
  • ▲ 윤중근 현대중공업지주 로봇사업부문 대표(왼쪽)와 송창현 네이버랩스 대표가 28일 서울 계동 현대빌딩에서 서비스로봇 진출 관련 업무협약을 맺은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지주
    ▲ 윤중근 현대중공업지주 로봇사업부문 대표(왼쪽)와 송창현 네이버랩스 대표가 28일 서울 계동 현대빌딩에서 서비스로봇 진출 관련 업무협약을 맺은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중공업지주
    현대중공업지주가 네이버의 연구개발법인인 네이버랩스와 손잡고 ‘서비스로봇’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현대중공업지주는 28일 서울 계동 현대빌딩에서 네이버랩스와 ‘로봇 사업 공동 협력에 대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체결식에는 윤중근 현대중공업지주 로봇사업부문 대표와 송창현 네이버랩스 대표 등이 참석했다.

    양사는 업무협약을 통해 서비스로봇의 개발 및 생산에 힘을 합친다. 현대중공업지주는 로봇분야 사업화 역량을 바탕으로 서비스로봇의 생산과 영업, 품질관리 등을 맡는다. 네이버랩스는 로봇 제작을 위한 기술 연구개발과 시스템 및 응용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수행한다.

    올해말 상용화를 목표로 하는 로봇은 3차원 실내 정밀지도를 제작하는 ‘M1 로봇’과 맵클라우드를 기반으로 위치파악과 경로 생성을 통해 자율주행 및 서비스가 가능한 ‘AROUND 로봇’ 등이다.

    현대중공업지주는 서비스로봇 양산을 위해 대구 로봇 생산공장에 별도 라인을 갖춘다. 아울러 판매가격을 대폭 낮춰 업계 최초로 본격적인 상용화에 나설 방침이다. 생산될 서비스로봇은 공항과 호텔, 쇼핑몰 등에서 폭넓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

    현대중공업지주 관계자는 “이번 업무협약은 현대중공업지주 로봇사업부문이 기존 산업용 로봇 시장 1위를 넘어 서비스로봇 시장에도 진출한다는 큰 의미를 가진다”며 “사업 다각화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춰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공업지주와 네이버랩스는 양사 계열사와 네트워크를 활용해 신규 수요를 발굴할 계획이다. 아울러 다양한 로봇을 공동 연구개발해 서비스로봇 사업분야에서 선도적 위치를 선점할 예정이다.

    네이버랩스 관계자는 “국내 산업용 로봇 시장점유율 1위인 현대중공업지주와 제휴를 통해 안정적인 상용화 기반을 갖추게 됐다”며 “올해 말 출시를 목표로 연구개발 양산 준비에 박차를 가해 생활밀착형 서비스 로봇의 대중화를 선도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