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국 긴축, 신흥국 불안, 유가 변동성 악재 겹쳐기업심리 악화 및 금융시장 충격 문제 '악화일로'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주요국 긴축에 신흥국 불안, 유가 변동성까지 큰 태풍을 만난 세계경제가 더 큰 충격에 휩싸였다.

    미국과 중국이 서로 관세 폭탄을 주고받는 무역전쟁을 시작하면서 금융시장에 미치는 악영향이 클 것으로 우려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경제분석기관 옥스퍼드 이코노믹스는 보고서를 통해 미국이 500억달러 중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이 '1대1' 수준의 보복 관세를 물리면 미·중 모두 올해와 내년 경제성장률이 0.1∼0.2%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당장 중국의 성장 둔화에 대한 경고음이 더욱 커졌다. 중국은 1분기 6.8% 성장률을 보였지만, 시장 전문가들은 둔화를 전망하고 있다.

    블룸버그가 지난달 말 기준으로 조사한 중국 올해 4분기 성장률 전망치는 6.4%로 4월 말 6.5%보다 낮아졌다.

    중국의 올해 4분기 성장률을 6.2%로 전망하고 있는 BNP파리바는 2019년 성장률 전망치도 6.3%로 4월 말보다 1%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여기에 미국의 공격 대상은 중국에 한정되지 않아 세계경제에 더 큰 충격이 가해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정부는 보호주의를 내세워 한국과 일본, 유럽연합(EU),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회원국까지 전 세계 이웃 국가들을 상대로 싸움을 걸었고 격한 반발에 부딪혔다.

    미국의 관세 폭탄이 상대국의 보복 관세를 부르고 악순환이 이어지면 경제에는 충격을 줄 수밖에 없다.

    노무라는 "미국발 무역갈등에서 최악의 시나리오는 중국이 1:1 보복에 나서고 미국이 여기에 또다시 공격적으로 대응하는 것"이라며 "관세 급등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경제 전망에 가장 큰 리스크를 제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무엇보다 경제 하방 압력이 동시다발적으로 가해지는 와중에 무역전쟁이 불거진 점이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긴 침체에서 벗어나 회복세를 누리고 있는 세계경제는 압박을 받는 상황이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 유럽중앙은행(ECB) 양적완화 종료 방침 등 주요 선진국의 긴축 선회 등에 따른 달러 강세와 신흥국 통화불안, 자본유출 위험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이란 핵 합의 파기와 산유국 생산 전망 변화에 따른 유가 변동성 심화, 유럽과 중남미, 중동 등 정국 혼란에 따른 불안도 불확실성을 높이고 있다.

    이에 더해 그나마 글로벌 경제에 긍정적인 요인인 G2 국가의 경기 회복세가 무역전쟁으로 주춤하면 신흥국으로서는 타격을 피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