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 감소·해외 불확실성…먹거리 확보 절실연내 금리인상 등 겹악재…내년 이후 업황 전망 '안갯속'
  • ▲ 자료사진. 세종 소재 주상복합건물 공사현장 모습. ⓒ연합뉴스
    ▲ 자료사진. 세종 소재 주상복합건물 공사현장 모습. ⓒ연합뉴스
    건설사의 일감 기근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2년 전부터 줄어들기 시작한 해외수주와 국내 SOC예산 축소 등으로 매출 감소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연내 금리인상과 하강국면에 접어든 주택경기 등으로 내년 이후 업황도 '가시밭길'이 예고되고 있다.

    6일 시공능력평가 상위 5개사의 잠정실적을 분석한 결과, 올 3분기 매출은 지난해 3분기보다 평균 6.12% 감소했다.

    기업별로 보면 △대림산업 28.1% △대우건설 11.9% △삼성물산(건설 부문) 9.66% 각각 감소했고 현대건설과 GS건설은 5.73%, 13.4% 증가했다. 현대건설의 경우도 3분기 누적 기준으로는 2.59% 감소하는 등 대형사의 외형 축소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수주잔고도 비어가고 있다. 대림산업의 올 3분기 기준 수주잔고는 20조3708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보다 26.0% 줄었고 대우건설도 11.7% 감소한 29조1400억원에 그쳤다. 삼성물산도 26조8680억원으로, 지난해 3분기 28조4910억원보다 5.70% 감소했다. 

    한라와 두산건설의 3분기 매출도 지난해 3분기에 비해 각각 25.6%, 7.07% 감소하는 등 건설업계 전반적으로 일감 기근이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은 해외수주 침체와 SOC 예산 감소가 지속되면서 꾸준히 우려됐던 부분이다. 지난해 말부터 국제유가 상승이 본격화되면서 중동 산유국의 발주량 확대가 기대됐지만 올 들어 현재까지 국내 업체의 해외수주액은 242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 226억달러와 비슷한 수준에 머무르면서 2015년부터 시작된 해외수주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다.

    SOC예산도 매년 감소 추세에 놓이고 있다. 기획재정부 '국가재정운용계획'에 따르면 SOC예산은 △2016년 23조7000억원 △2017년 21조8000억원 △2018년 20조3000억원 △2019년 19조3000억원 △2020년 18조5000억원 등 연 평균 6% 감소하도록 계획됐다.

    실제로 올해 SOC예산이 지난해보다 4조4000억원 감소한데 이어 내년 SOC예산도 올해보다 5000억원 감소한 14조7000억원이 책정되는 등 건설업계의 일감 기근이 현실화되고 있다.

    그나마 건설사의 실적을 지탱해주던 주택사업도 각종 부동산 규제로 하강국면을 맞이하고 있다.

    권기혁 한국신용평가 실장은 "2013년 말 지방의 미분양 비중은 29%에 불과했지만 올해 7월 76%까지 증가하는 등 주택경기가 하강국면에 진입했다"며 "8·2대책, 9·13대책 등으로 향후 수도권 주택경기도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연이은 악재로 인해 건설사의 매출 감소세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2년 전부터 줄어든 해외수주가 이번에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매출이 감소했다"며 "내년에는 해외수주가 회복될 전망이지만 관련 매출은 내후년에야 반영되고 SOC예산 감축과 주택경기 불황 영향으로 내년까지 외형 축소가 지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금리가 인상될 경우 공사에 소요되는 금융 조달비용이 증가하고 대출금 상환 리스크를 높인다는 점에서 리스크 관리가 한층 까다로워져 대출을 받는 것 자체가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0월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한미 양국간 금리 격차는 0.75%p를 유지했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12월 추가 금리 인상을 예고한 상황이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달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금리를 올리면 한계기업, 경제에 영향을 주고 고용에도 영향을 주지만 사실상 금리정책을 할 때 부문별로 따로 보고 대책을 마련할 수는 없다"며 "한 차례 금리 인상은 긴축이 아닌 정상화하는 과정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대형건설 관계자는 "업계 전반적으로 일감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성장세에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