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3주째 상승, 경기도 보합세 전환6월 아파트 청약자 수 살펴보니… 5월 대비 '1/3'대출 규제 이어 분양가 통제까지… 인기지역 중심 '양극화' 지속
  • ▲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단지 전경.ⓒ연합뉴스
    ▲ 서울 송파구 일대 아파트단지 전경.ⓒ연합뉴스

    최근 서울 강남을 비롯해 강북까지 아파트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집값 '바닥론'이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여전히 아파트 분양시장은 약세를 보이고 있다. 정부의 분양가 통제로 분양을 미룬 단지가 늘고 대출규제로 청약자 수가 대폭 줄면서다. 일부 인기지역에만 수요가 몰리며 양극화가 지속되고 있다.

    9일 KB부동산 리브온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0.09% 상승했다. 6월 3째주, 4째주에 각각 0.01%, 0.06% 오른데 이어 3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고 상승폭 역시 커졌다.

    무엇보다 지난주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의 상승세가 강북지역까지 확대돼 전주에 비해 0.09% 올랐다. 강북뿐 아니라 경기(0.00%) 역시 하락을 멈추고 보합세로 돌아섰다. 특히 과천(0.21%), 광명(0.11%), 부천(0.09%) 등의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아파트 분양시장은 여전히 찬바람이 불고 있다. 부동산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적으로 1만4258가구의 아파트(일반분양)가 분양됐는데 1·2순위에서 7만1026명이 청약했다.

    분양물량은 전달인 5월(1만6091가구)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청약자 수는 22만4509명에서 3배 이상 대폭 줄었다. 지난해 6월(9만8749명)과 비교해서도 3만명 이상 줄었다.

    이에 따라 지난달 평균 청약경쟁률도 5대 1로 전달(14대 1)에 비해 절반 이상 줄었다. 충북과 울산, 전북, 충남, 강원, 경남 등은 미달된 아파트가 쏟아져 청약경쟁률이 소수점 이하를 기록했다.

    리얼투데이 관계자는 "서울 등 수도권은 정부의 고분양가 심사 기준 강화로 주요 단지 분양이 줄줄이 연기되면서 수요자들을 끌어당기는 힘이 부족했다"며 "까다로운 청약제도와 대출규제로 무순위 청약만 확산되는 등 전반적으로 청약 열기가 주춤했다"고 설명했다.

    집값은 반등했지만 청약경쟁률이 주춤한 데는 대출규제 영향이 가장 크다는 분석이다. 분양가 9억원 이상은 중도금 대출이 불가능하고 최근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적용되면서 대출 받기가 어려운 계약자가 적지 않은 상황이다.

    더불어 높아진 분양가도 실수요자에게는 부담이다. 분양가가 높더라도 집값이 오를 것 같으면 청약 신청을 하겠지만 아직 집값 상승세가 이어질지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업계 한 전문가는 "대출규제가 풀리지 않는 이상 실수요자가 새 아파트를 청약받기는 힘들다"면서 "장기 무주택자 등에 대해선 대출규제를 완화하는 등 실수요자 중심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