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누적 가입자 500만 돌파 힘들어상용화 9개월 불구 인빌딩 구축 늦어지며 '품질 논란''고가 요금제-콘텐츠 부족'도 한 몫
  • ▲ ⓒ뉴데일리DB
    ▲ ⓒ뉴데일리DB

    올해 5G 가입자 성장세가 숨고르기에 접어들 전망이다. 상용화 초기 무려 200%에 가까운 가입자 증가율을 보이기도 했으나 고가 요금제, 콘텐츠 부족, 5G 품질 논란 등이 지속되고 있어 가입 정체기에 돌입할 것이란 분석이다.

    1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무선통신 서비스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5G 이동통신 가입자는 435만 5176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각에선 다음달 측정이 완료되는 '2019년 누적 5G 가입자'도 500만명 고지를 넘기 힘들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5G 상용화를 시작한 지 한달 만인 지난해 5월 가입자는 78만 4215명으로 전달(27만 1686명) 대비 188%의 증가율을 보였지만, 이후 6월 70.4%, 7월 43%, 8월 46.1%, 9월 24%, 10월 14.8%로 점점 줄어드는 추세다.

    같은기간 통신사별 5G 누적 가입자 수는 SK텔레콤이 194만 963명으로 전체의 44.5%를 차지했고, KT는 132만 4376명(30.4%), LG유플러스는 108만 9837명(25%)으로 집계됐다.

    전문가들은 5G 가입자 증가율 감소세 속 통신사별 월별 증가율 역시 감소세를 보이고 있고, 이통사들의 비슷한 혜택들로 점유율 고착화가 유질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는 상용화 9개월이 지났음에도 계속되고 있는 5G 품질 논란을 가장 큰 흥행 부진 요소로 꼽고 있다.

    특히 정부가 5G B2B 강화를 주창하고 있지만 실내 기지국 수가 터무니 없이 적어 소비자들의 불만이 끊이질 않고 있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변재일 의원이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받은 '장소별 5G 기지국 구축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9월 기준 실내 기지국은 전체 5G 기지국의 1% 수준인 898국에 불과했다. 5G 기지국 97% 이상이 지상에 집중돼 있고 그 외 장소에는 기지국이 부족해 실내 불통 통신망에 그치고 있다는 주장이다.

    참여연대는 지난달 '이통 3사의 5G 먹통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며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자율분쟁조정위원회에 분쟁조정을 신청하기도 했다.

    비싼 5G 요금제도 한몫 거들었다는 해석이다. 이통사간 5만원 미만의 요금제를 출시하기엔 아직 가입자 풀이 적다는 공감대가 형성되면서 중저가 요금 출시를 주저하고 있는 모습이다.

    박정호 SK텔레콤 사장도 5G 저기요금제 출시는 시기상조 라는 의견을 필역한 바 있다.

    박 사장은 지난해 11월 열린 과기정통부 주회 '이통3사 CEO 조찬 간담회'에서 "5G망이 아직 부족하다"며 "아울러 5G망 투자에 돈이 많이 들어가서 저기요금제 출시는 아직 시기상조 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확실한 5G 킬러 콘텐츠가 없는 점도 이 같은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통사들이 VR·AR 등 다양한 콘텐츠를 내놓고 있지만 실생활에 적용되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이병태 카이스트 경영학과 교수는 "5G의 다양한 청사진이 제시되고 있지만, 실제 고객들이 느끼는 혜택들은 거의 없다고 보면된다"며 "인빌딩 구축 속도가 느려 5G 품질 논란이 지속되고 있고 이에따라 해당 콘텐츠를 제대로 즐기기란 무리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고가 요금제도 소비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는 요인 중 하나"라며 "올해 5G 가입자 성장세가 큰 폭으로 증가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