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그룹 초안 발표... 신재생 비율 40%까지 확대석탄발전 30기 2034년까지 폐기, 24기 LNG로 전환
  • ▲ 2022년 해체를 앞두고 있는 고리원전 ⓒ연합뉴스 제공
    ▲ 2022년 해체를 앞두고 있는 고리원전 ⓒ연합뉴스 제공

    오는 2034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중이 지금의 15.1%에서 40.0%로 확대되는 등 제9차 전력수급 계획의 윤곽이 나왔다.

    이같은 에너지 전환정책에 따라 운전기간 30년이 도래하는 석탄발전 30기가 폐기되고 전력 부족분은 액화천연가스(LNG)로 대체된다.

    또한 탈원전정책이 본격화됨에 따라 원자력발전은 17기까지 줄어들 전망이다.

    8일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워킹그룹이 발표한 2020년부터 2034년까지의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에 따르면 원전과 석탄발전 비중은 현재 46.3%에서 15년후 24.8%로 절반 가까이 줄어든다. 반면 신재생에너지는 15.1%에서 40.0%로 크게 확대된다.

    이 경우 2034년 최대전력수요는 104.2GW, 최대전력수요의 연평균 증가율은 1.0%로 전망된다.

    워킹그룹은 수요관리 방안으로 에너지공급자 효율 향상 의무화제도(EERS)의 법제화, 현행 에너지효율 관리제도 강화, 능동적 형태의 스마트 조명과 같은 신규 기술도입 등을 제시했다.

    특히 원자력·석탄발전 축소계획에 따라 2034년까지 가동후 30년이 도래하는 모든 석탄발전기를 폐기키로 했다.

    석탄발전기 60기중 절반인 30기(15.3GW)가 운전을 멈추게 되며 폐기 대상 24기(12.7GW)는 LNG 발전기로 전환해 전력수급을 대체하게 된다.

    원전은 2024년 26기(27.3GW)이후 점차 감소해 2034년에는 17기(19.4GW)로 줄어든다.

    초안에 따르면 전원별 설비 비중은 원전은 2020년 19.2%에서 2034년 9.9%, 석탄발전은 27.1%에서 14.9%,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15.1%에서 40.0%로 확대된다. LNG의 경우 32.3%에서 31.0%로 비슷한 수준을 유지해 수급 안정을 담당하게 된다.

    이외에 수급계획안은 동해안-신가평 500kV 초고압직류송전(HVDC) 건설사업과 같이 준공이 지연되는 사업을 특별관리하고 발전제약 완화용 에너지저장장치(ESS) 구축 등 대응 방안도 제시했다.

    장기적으로는 재생에너지의 원활한 보급을 위해 지역별 맞춤형 인프라 구축계획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계통 연계 확충 방안과 분산형 전원의 확대에 발맞춰 체계적 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국형 가상발전소 제도 도입을 제안했다.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은 정부의 확정안은 아니며 전략환경영향평가 협의 소요 기간 등에 따라 확정 시기가 최종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