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드론 군사용 도입도 검토… 정찰·원거리 타격용산업·국방·환경부, 업무협약 체결
  • ▲ ⓒ뉴데일리 DB
    ▲ ⓒ뉴데일리 DB
    정부가 민·군 겸용 '수소충전소' 구축과 '수소 드론' 군 보급을 추진하며 수소 경제 육성에 박차를 가한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정세균 국무총리는 자운대 내 국군간호사관학교에서 ‘수소 활용을 위한 상호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 체결을 주관했다.

    이날 행사는 대한민국의 신성장동력인 수소경제 육성을 강조하는 자리로, ▲민·군 겸용 수소충전소 예정 부지 방문 ▲수소 버스 시승 ▲군 드론 전시 및 수소 드론 시연 ▲‘수소 활용 상호협력 업무협약’ 체결 및 코로나19 군 의료진 격려 순서로 진행됐다.

    이번 협약으로 국방부는 군사시설 보호와 군사작전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민·군 최초 겸용 수소충전소 설치에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 충전소는 올해 하반기 자운대 입구에서 착공해 내년 상반기에 준공된다.

    군은 두산모빌리티이노베이션에서 개발한 수소 드론 'DS30'을 군사용으로 도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수소연료전지를 탑재한 드론은 이륙 후 최장 30분을 비행하는 기존 드론과 달리 최대 2시간 이상을 날 수 있어 정찰 및 원거리 타격용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약 체결로 산업부는 수소충전소 설치와 관련한 제도 및 정책을 지원하고 환경부는 수소충전소 구축 예산을 맡기로 했다.

    국방부와 산업부, 환경부는 국방부 소유 군용지 중에서 민·군 겸용 수소충전소를 설치할 수 있는 곳을 적극적으로 발굴할 계획이다.

    정 총리는 “협약체결로 각 부처와 관련 기업들이 힘을 모아 수소경제로 가는 큰 한 걸음을 내딛었다”며 “수소경제를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고 에너지문제도 친환경적으로 해결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