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공항 연계하자"… 전북도에 SOS국내선 재개 위한 AOC 재취득 급선무"사업성 떨어져… 정무적 판단 따라 명운 갈릴 듯"
  • ▲ 제주항공과의 매각 지연, 무산과 관련해 집회를 갖는 이스타 노조원 ⓒ 뉴데일리경제
    ▲ 제주항공과의 매각 지연, 무산과 관련해 집회를 갖는 이스타 노조원 ⓒ 뉴데일리경제
    이스타항공이 회생을 위한 ‘플랜B’ 마련에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제주항공과의 거래 무산이 현실화되면서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일각에선 본거지인 전북도의 지원, 2028년 개항하는 새만금 국제공항과의 시너지 등을 거론하지만 업계의 평가는 회의적이다.

    국토부 조차 “이스타의 자체 대안 검토 후 지원을 결정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다.

    최종구 이스타 대표는 지역 언론과의 접촉을 늘리며 지자체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창업주인 이상직 민주당 의원도 “지자체와 도민이 이스타를 살려달라”고 나서고 있다.연일 강조한다.  전북 군산 공항 기반으로 출발한 만큼 전북도에 SOS를 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은 2028년 개항할 새만금 국제공항을 전북도 허브 공항으로 육성하는 데 이스타를 활용하자는 주장이다.

    이스타 구제를 항공 거점 육성 등 지자체 사업과 연결지어야 한다는 의견인 셈이다.
  • ▲ 제주항공과의 매각 지연, 무산과 관련해 집회를 갖는 이스타 노조원 ⓒ 뉴데일리경제
    ▲ 제주항공과의 매각 지연, 무산과 관련해 집회를 갖는 이스타 노조원 ⓒ 뉴데일리경제
    노조 등도 외부 지원을 통해 당장 국내선을 재개해야한다고 주장한다. 이스타는 현재 회사 운영에 필요한 국토부 운항자격(AOC)을 상실한 상태다. 지난 3월 전 노선을 중단한 ‘셧다운’ 사태 때문이다. 자격 재취득에 필요한 비용은 대략 500억원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전문가들의 시각은 회의적이다. 제주항공이 딜 포기로 이스타의 결여된 사업성을 증명한 만큼 누구라도 선뜻 나서기는 힘들 것이라는 풀이다. 약해질 대로 약해진 재무구조도 걸림돌이다. 지난 1분기 기준 이스타의 자본 총계는 마이너스 1042억원으로 완전자본잠식 상태다.

    새만금 공항도 이스타 구제의 결정적 변수가 되긴 어렵다는 시각이다. 입지적 한계, 코로나19 이후 항공 수요 감소 등을 고려한 분석이다. 정식 개항이 8년 후 인 데다, 지자체 지원을 추진한대도 도 조례 신설 등 넘어야 할 산이 많다는 우려도 있다.

    허희영 한국항공대 교수는 “제주항공의 포기로 불투명한 사업성이 증명된 데다, 국토부도 특별한 지원책을 내놓긴 어렵다는 입장”이라며 “전북도 등 지자체가 지원을 검토한다고 해도 도의회 조례 신설과 도민 설득이 어려울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자체 지원을 뒷받침하는 새만금 공항은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는 등 수익 위주의 시설이 아니다”라며 “이스타 구제를 좌우할 결정적 요소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지자체 지원이 이뤄진대도 성장성 보다는 정무적 요소를 주로 반영하게 될 것”이라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