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결과 발표
  • ▲ 사후관리서비스 횟수에 따른 전반적 자살위험도 변화. ⓒ보건복지부
    ▲ 사후관리서비스 횟수에 따른 전반적 자살위험도 변화. ⓒ보건복지부
    자살시도자에 대한 사후관리가 늘어날수록 전반적 자살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결과가 나왔다. 

    보건복지부와 중앙자살예방센터는 ‘2019 응급실 기반 자살시도자 사후관리사업’ 결과를 13일 발표했다. 

    이 사업은은 자살시도자에 대한 적시 치료와 체계적인 사후관리서비스(상담, 지역사회 자원연계 등)를 제공해 자살 재시도를 막는 데 목적이 있다.

    2013년 25개소에서 출발해 2019년에는 전국 16개 시도(세종 제외)의 63개 병원이 사업수행기관으로 참여 중이다.

    2019년 응급실 사후관리사업 참여병원 응급실에 내원한 자살시도자 2만1545명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자살시도자는 여성이 1만 2899명(59.9%)으로, 남성 8,646명(40.1%)보다 많았고 연령별로는 20대(23.0%) 비율이 가장 높았다. 

    과거 자살 시도 관련, 응답자 1만6458명 중 7365명(44.8%)이 과거에도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향후 자살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 2679명 가운데 6개월 내 자살할 계획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은 122명(4.7%)로 나타났다.

    자살 시도 동기는 ‘정신장애 증상’(34.6%)이 가장 높았고, ‘대인관계’ (19.9%), ‘말다툼 등’(10.9%), ‘경제적 문제’(8.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7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신체적 질병’ 때문에 비관해 자살을 시도한 비율(70대 26.0%, 80대 이상 29.7%)이 정신장애 증상(70대 32.2%, 80대 이상 30.3%) 다음으로 높았다.

    자살시도자의 절반가량(50.4%)은 음주 상태였고,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87.8%)한 경우가 많았는데, 연령이 높을수록 계획적* 자살 시도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 시도 방법은 ‘약물 음독’(50.1%), ‘둔기/예기’(18.9%), ‘농약 음독’(8.4%) 순으로 나타났는데, 여성은 특히 ‘약물 음독’ 비율(58.0%)이 다른 유형에 비해 크게 높았다. 

    여성의 경우 자살을 시도해 ‘도움을 얻으려고 했던 것이지, 정말 죽으려고 했던 것이 아니다’에 응답한 비율(36.8%)이 높았던 반면 남성은 ‘정말 죽으려고 했으며, 그럴만한 방법을 선택했다’에 응답한 비율(38.2%)이 높게 나타났다. 

    사후관리서비스 동의자 1만1740명 중 사례관리서비스를 4회 이상 받은 7,078명(60.3%)을 대상으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 자살위험도, △알코올 사용문제, △우울감이 호전되고, △자살 생각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관리 초기와 4회 진행 후 자살위험도를 비교했을 때 자살 생각이 있는 경우는 사후관리 초기 25.7%(1818명)이었으나 4회 진행 시 15.2%(1074명)로 10.5%p 감소했다. 

    알코올 사용문제, 우울감 극복 과정에서도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다. 

    서일환 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장은 “자살 시도 경험이 있는 사람은 다시 자살을 시도할 확률이 일반인보다 20~30배 높다. 자살시도자에 대한 사후관리체계를 강화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백종우 중앙자살예방센터장은 “코로나로 더욱 힘든 시기에 지속적으로 사후관리 강화와 지역사회 연계를 통해 상호 협력하며 위기에 빠진 사람들에게 희망을 연결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