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캐피탈 대부분 8배 상회…우리금융캐피탈 9.1배KB캐피탈, KB금융지주와 레버리지 대응 방안 논의 중한도 충족 위해 자본확충 또는 자산성장 제한 불가피금융위 "카드사와 한도 맞춰 건성성·유동성 관리해야"
-
캐피탈사들이 기존 10배에서 8배로 강화되는 레버리지 배율 규제 조정을 앞두고 촉각을 세우고 있다.캐피탈사 대부분 레버리지 배율이 8배가 넘는 만큼 이 한도를 충족하기 위해 자본 확충 혹은 자산 성장 억제가 불가피하다.17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이번주 캐피탈사의 레버리지 규제를 강화하는 내용을 담은 유동성 리스크관리 강화 방안을 내놓는다.캐피탈사의 레버리지 배율 한도를 카드사와 동일하게 설정해 코로나19 장기화로 나빠진 건전성과 유동성 관리·감독을 보다 강화하겠다는 취지다.그동안 캐피탈사의 레버리지 배율은 10배 수준을 유지해왔다. 반면 카드사는 과도한 외형 확대를 통제하기 위해 2012년부터 6배로 제한됐다가 신사업 확대 등을 위해 지난해 8배로 완화된 바 있다.하지만 2018년 이후부터 외부 자본 확충 규모는 감소한 반면 영업자산의 성장세는 높게 유지되면서 캐피탈사 전반의 레버리지 부담이 확대됐다.현재 캐피탈사 대부분 레버리지 배율이 8배를 상회하고, 우리금융캐피탈과 NH캐피탈의 경우 9배를 넘겨 고레버리지에 속한다.한국신용평가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단순 레버리지 기준으로 ▲우리금융캐피탈 9.1배 ▲NH캐피탈 9.0배 ▲KB캐피탈 8.7배 ▲DGB캐피탈 8.6배 ▲BNK캐피탈 8.3배 ▲신한캐피탈 8.2배 ▲IBK캐피탈 8.2배 ▲하나캐피탈 8.1배 등 순으로 8배를 웃돈다.대부분 은행계열의 신용도가 우수한 상위 캐피탈사로, 레버리지 규제 강화의 영향은 중소형사보다 대형사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들 대체로 금융그룹 차원에서 비은행부문 사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신규 사업을 확대해왔다.단, DGB캐피탈과 IBK캐피탈의 경우 지난해 4분기 각각 500억원, 1000억원의 유상증자를 받았고, 신한캐피탈은 리테일 영업자산을 매각했다. 이에 따라 이들의 레버리지 배율은 지난해 말 결산 시점으로 8배 이하로 낮아진 것으로 예측된다.이들을 제외하면 우리금융캐피탈, NH캐피탈, KB캐피탈, BNK캐피탈, 하나캐피탈 등이 당장 레버리지 준수 부담이 존재하는 고레버리지 캐피탈사다.레버리지 배율은 총자산을 자기자본으로 나눈 지표다. 한도가 하락하면 자본 축적 요구가 커지고, 부채를 이용해 자산 확대를 제한해야 한다. 결국, 유상증자를 하거나 영업자산의 성장을 조절해야 한다.모회사가 있는 캐피탈사의 경우 금융그룹의 추가 출자 여력이 충분한 만큼 자본 확충을 통해 레버리지 규제 대응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KB캐피탈의 경우 레버리지 규제 강화를 앞두고 KB금융지주와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KB캐피탈 관계자는 "레버리지 배율을 맞추기 위해 지주사와 논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유증으로 대응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캐피탈사들이 레버리지 배율을 낮출 시간적 여유는 있다. 금융당국은 급격한 제도 변경에 따른 부작용을 막기 위해 한도 준수에 유예기간을 두기로 했고, 적용 시점을 조율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일반적으로 2년의 유예기간이 부여되는 점을 감안하면 KB캐피탈, 하나캐피탈, BNK캐피탈 등은 해당 기간 내 영업 성장 조절과 이익 누적으로 대규모 영업자산 매각 등 큰 무리 없이 규제 수준으로 관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한국신용평가 김영훈 연구원은 "고레버리지 캐피탈사는 영업기반 악화 등 부정적 영향 없이 규제 준수가 가능하겠으나 더는 고레버리지 전략을 활용할 수 없어 이익규모 유지를 위해 고위험-고수익 자산을 적극 편입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그러면서 "중소형사는 대형사의 성장세 둔화가 풍선 효과로 이어져 영업 취급이 확대되고, 레버리지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거액 익스포져 유입을 통한 영업자산 성장이 자본 확충 속도에 비해 빠르게 일어날 경우 신용도 측면에서는 부정적"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