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경전철 1호 민자투자사업인 우이신설경전철이 만성적자로 파산 위기에 처했다. 이에 따라 오세훈 서울시장이 공약한 서남·강북권 8개 경전철 사업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16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우이신설선은 지난해 영업손실 147억원, 당기순손실 318억원을 기록했다. 각각 전년 대비 손실폭은 줄었으나 적자 상태는 유지했다.
무엇보다 매출액이 전년(150억원) 보다 11% 줄어든 134억원에 그쳤다. 우이신설선은 2017년 9월 개통 이후 매년 적자를 이어오며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다. 2018년부터 3년 연속 완전자본잠식에 빠진 상태다.
적자 원인은 사업추진 단계에서 하루 평균 13만명으로 예측한 수요가 7만여명에 그친 데 있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무임승차(65세 이상 노인) 비율이 30% 수준이라는 점과 수도권통합환승할인이 적용되면서 수익성이 악화된 것도 주된 원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운영사가) 파산을 신청할 때에는 대체사업자를 확보해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할 계획"이라며 "사업 재구조화에 따른 변경협약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우이신설선이 같은 '수익형 민간투자사업(BTO)' 방식으로 운영된 의정부경전철의 전철을 밟는 게 아니냐는 우려나 나온다. 의정부경전철은 2012년 개통한 이후 운영기간 내내 적자를 내다 4년 만에 파산했다. 이 사업 역시 잘못된 수요 예측으로 만성 적자에 허덕였다.
우이신설선의 파산 위험성이 커지자 서울시는 재정 지원에 나섰다. 무임승차 등 운임손실을 보전해 주기 위한 금액으로 185억원을 책정했지만 경영 정상화를 기대하기 힘들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더 큰 문제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첫번째 교통공약으로 내세운 서울 시내 경전철 사업에 있다. 오 시장은 재임 기간 5년(1년+4년) 내 서남권(목동·신림·서부·난곡선) 4개 노선과 강북권(강북 횡단·동북·면목·우이신신설 연장선) 등 총 8개 노선의 경전철 사업을 완성하겠다고 공약했다.
다만 이들 노선 상당수는 사업성이 낮아 민간투자자의 참여가 없어 우이신설선과 같은 BTO방식에는 한계가 있다. 서울시 자체사업으로 추진하더라도 재정 여력에 대한 문제가 해소되지 못했기 때문에 약속대로 추진될지 미지수다.
업계 한 관계자는 "오 시장이 내세운 교통 정책 대부분은 서울시의회나 자치구와의 협의가 필요한 만큼 사업추진이 원활할지 장담할 수 없다"며 "현재의 민간투자 방식으로는 똑같은 만성적자에 허덕일 수밖에 없어 투자할만한 건설사가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