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시총 70조원 돌파... 시총 3위 등극뱅크·페이·모빌리티·엔터 등 자회사 IPO 기대감120개 육박하는 카카오 계열사... 규제 확대 빌미공정위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 입법 시도
  • 카카오가 가파른 주가 상승을 바탕으로 시가총액 75조원을 달성했다. 뱅크·페이·모빌리티·엔터 등 자회사 IPO에 대한 기대감이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문어발식 사업 확장에 따른 정부 규제가 변수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2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카카오의 23일 종가는 16만 9500원으로 시총은 75조 2461억원이다. 시총 1, 2위를 기록하고 있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 이어 코스피 3위를 기록 중이다. SK하이닉스와 시총 차이는 약 15조원이다.

    전문가들은 카카오가 플랫폼 중심의 신사업 분사와 자회사 IPO 등을 앞세워 가치 어필에 성공한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같은 상승세는 하반기까지 지속될 것이란 의견이 지배적이다.

    황승택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카카오페이증권의 MTS 도입에 따른 펀더멘털 개선이 기대된다. 400만 이상의 위탁계좌를 확보하고 있으며, 카카오톡 기반의 마케팅이 더해진다면 빠른 수익성 확보가 예상된다”며 “성장에 대한 기대치도 적지 않은 만큼 투자심리 개선에 강한 모멘텀이 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커머스 부문 재합병도 긍정적이다. 격화되고 있는 모바일 커머스 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면서 “카카오톡 플랫폼과 분리해 생각할 수 없는 밀접한 비즈니스인 만큼 시너지 효과도 분명히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시장경쟁력 제고도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교보증권, 삼성증권, 하나금융투자 등 대다수의 증권사도 카카오의 목표주가를 20만원 선으로 상향 조정하는 등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증폭되고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카카오의 사업 영역 확대를 통한 시장 지배력 강화가 규제 확대로 이어지는 빌미가 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카카오의 계열사는 총 118개로 1위인 SK그룹 다음으로 많다.

    최근 전 세계의 빅테크 기업들은 영향력이 비대해지면서 거센 규제를 받고 있다. 이미 미국에서는 애플,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등에 대한 규제가 다수 발의된 상황이다.

    특히, 지난 11일에는 미국 하원 법사위 반독점소위의 데이비드 시실리니(민주당) 위원장 등이 ‘플랫폼독점종식법’을 비롯한 5개 법안을 발의했다. 해당 법안에 따르면 온라인 플랫폼 기업이 자신의 플랫폼을 활용해 자사 제품을 서비스하거나 판매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한다. 경쟁사들보다 자사 제품이 유리하도록 혜택을 제공하는 것 역시 금지된다.

    사실상 구글, 아마존 등이 직접 서비스하는 플랫폼에서 자사의 브랜드 제품을 판매하거나 판매하는 회사를 만드는 행위를 금지하는 조치라는 분석이다.

    막강한 시장 지배력을 지닌 빅테크 기업에 대한 규제가 글로벌 추세인 만큼, 국내 빅테크 기업도 규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을 전망이다. 국내에서는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와 방송통신위원회는 네이버와 카카오 등 플랫폼 기업을 겨냥한 법안을 발의한 상태다.

    대표적인 규제는 지난 1월 공정위가 국회에 제출한 온라인플랫폼공정화법(이하 온플법)이다. 온플법은 입점업체에 갑질 시 법 위반액의 두 배로 과징금을 물리고 경쟁 플랫폼 입점 제한 여부를 계약서에 담아야 하는 것이 핵심이다.

    온플법은 ‘매출액 100억 이상의 범위에서 시행령으로 정하는 금액 이상 또는 판매 금액 1000억원 이상의 범위에서 시행령으로 정하는 금액 이상’인 온라인 플랫폼이 적용 대상이다. 자연스럽게 네이버나 카카오 같은 대형 플랫폼이 대상이 된다.

    업계에서는 온플법이 통과될 경우 카카오가 전개 중인 다양한 사업에 제약이 생길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대형 플랫폼 기업에 대한 규제는 꾸준히 적용돼 왔다”면서도 “시장 지배력이 커질수록 규제가 확대되는 것은 향후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